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교의 삼일신과 헤겔의 절대자

이용수  55

영문명
Singyos Drei-Eins-Gott(三神) und Hegels Absolute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양우석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2권 1호, 219~23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방 신교의 삼일신 사상은 시종일관 삼과 일의 변증법적 관계를 해명하는 데서 관철되는 매우 철학적인 논변을 포함한다. 일이란 일신 혹은 일기, 일상제로 표현되는 신의 원형이다. 일신이 원형이라면 삼신은 이 원형이 현상하는 세 가지 형태 혹은 양상으로서 조화, 교화, 치화 혹은 천일, 지일, 태일을 이른다. 그러나 그 본질은 같기 때문에 일신은 곧 삼신이요, 삼신 역시 곧 일신이라 말한다. 이것을 집일함삼, 회삼귀일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것이 일과 삼의 변증법이다. 여기서 삼일논리의 보편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관건이다. 우리는 이 입증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사례를 서양 사상의 근대적 대표자인 헤겔의 절대자 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헤겔의 변증법이란 곧 절대자로 표현되는 신의 원형이 어떻게 현상적으로 자기를 계시하는가 하는 데서 드러난다. 절대자는 이념, 자연, 정신이라는 세 가지 형태로 자기를 계시(드러냄)한다. 그러나 절대자와 이념, 자연, 정신이라는 자기계시의 형태의 본질은 동일하기 때문에 일은 곧 삼이요, 삼은 곧 일이라 말할 수 있다. 이것을 헤겔은 정, 반, 합명제라는 형태로 논리화하여 변증법이라 하기도 한다. 즉 헤겔의 변증법은 절대자라는 일이 이념, 자연, 정신이라는 삼과 가지는 순환적 관계에서 성립한다. 삼일신 사상에서 일신은 헤겔의 절대자에, 삼신은 이념, 자연, 정신에 상응한다. 양자는 동일한 논리적, 혹은 변증법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구조와 방법만의 문제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것은 신의 인식, 초월과 내재, 유한과 무한, 자유와 필연, 신존재 증명에서도 거의 유사한 구조를 보여 준다.

영문 초록

Lehre Gottes’ Drei-Eins-Gott Gedanke im Osten enthält sehr philosophische Argumente, welche folgerichtig durchgesetzt werden, indem sich das dialektische Verhältnis von Drei(三) und Eins(一) erklärt. Eins ist ein Archetypus des Gottes, der sich als Eins-Gott(一神) oder Eins-Gi(一氣), Eins-Sangse(一上帝) artikuliert. Eins-Gott ist ein Archetypus von Gott, demgegenüber bedeutet Drei-Gott(三神) die drei Formen oder Modi, Zohua(造化), Gyohua(敎化), Chihua(治化) oder Chunil(天一), Zi-Il (地一), Teil(太一), in welche jener Archetypus in Erscheinung kommt. Aber es ist gesagt, dass Eins-Gott zugleich Drei-Gott ist, und zugleich dass Drei-Gott Eins-Gott ist, weil ihre Wesen gleich sind. Dies artikuliert man, dass Eins Drei beinhaltet(執一含三), und dass Drei in Eins zurückkerhrt(會三歸一). Es ist eine Dialektik von Eins und Drei. Hier isr es der Schlüssel, dass man die Allgemeingültigkeit der Logik von Drei-Eins beweist. Wir können ein dies Bewis ermöglichende typische Beispiel im Gedanken des Absoluten Hegels finden. Hegels Dialektik zeigt sich dadurch, dass sich der Archetypus Gottes als das Absolute offenbart. Das Absolute offenbart sich in den drei Formen Idee, Natur und Geist. Aber man kann sagen, dass Eins zugleich Drei ist, und umgekert, weil das Absolute mit der Form der Selbstoffenbarung Idee, Natur und Geist identisch ist. Das ist, sagt Hegel, die Dialektik, indem er dies logisch als These, Antithese und Synthese formuliert. D.h. Hegels Dialektik besthet aus dem zirkuläre Verhältnis, das das Eine Absolutes mit der Drei Idee, Natur und Geist hielt. Im Gedanke Drei-Eins-Gott entspricht Eins-Gott dem Absolute Hegels, dem Drei-Gott Idee, Natur und Geist. Beides haben die gleiche dialektische Struktur. Aber dies beschränkt sich nicht nur auf des Problem der Stuktur und Methode. Es zeigt fast eine ähnliche Struktur in der Erkennen Gottes, Transzendenz und Immanenz, Endlichkeit und Unendlichkeit, Freiheit und Notwendigkeit, und Gottesbewei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신교의 삼일신
Ⅲ. 헤겔의 절대자
Ⅳ. 삼일신과 절대자
Ⅴ. 결론
Zusammenfassung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우석. (2015).신교의 삼일신과 헤겔의 절대자. 세계환단학회지, 2 (1), 219-238

MLA

양우석. "신교의 삼일신과 헤겔의 절대자." 세계환단학회지, 2.1(2015): 219-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