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the Behavioral Outcom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강호철(Kang Ho Chul) 이도화(Lee Do Hwa)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23권 제2호, 130~15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진성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성격(Big-5)이 선행요인으로서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ㆍ부산ㆍ경남지역에 소재한 14개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유효설문지 자료 290부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진성 리더십이 강할수록 긍정심리자본이 증가한다. 둘째, 성격유형 Big-5 중에서 신경증을 제외하고 나머지 4개의 성격유형은 그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증가한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그 수준이 높을수록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가 높다.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은 선행변수와 역할내 직무수행 및 적응적 수행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를 가진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an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Big-5 personalities as the antecedents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ow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behavioral outcomes such as in-role job performance and adaptive job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model and the set of hypotheses were constructed. For hypothesis testing,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ample of 300 workers employed in 14 companies located in Seoul, Busan and Gyengnam regio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290 usable answers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the stronger the authentic leadership is, the strong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econd, the higher level of the Big-5 personalities mak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ronger. Thir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outcomes such as in-role job performance and adaptive job performance. A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following relationships: ① authentic leadership and adaptive job performance, ② conscientiousness and in-role job performance, ③ agreeableness and in-role job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mentioned in the conclus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From Assets to Advantage: The Debt-Driven Profit Engine of Indonesia's Manufacturing Firms
-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30 No.7 Contents
- Determinant of Carbon Emission Disclosure: The Role of Leaders' Low Carbon Awarenes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