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일터영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7

영문명
A Study of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on the Teache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김일(Kim Il) 류태모(Ryu Tae Mo)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3권 제2호, 112~129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가 일터에서 느끼는 영성(workplace spirituality)과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교사학생 친밀감 및 교사가 학교조직과 학생 및 수업에 대한 애착의 정도를 나타내는 교사헌신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교 및 기독교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09부를 회수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일터영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은 교사학생 친밀감과 교사헌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터영성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학생 친밀감 간에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헌신 간에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학교조직에서 처음으로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의 일터영성은 조직성과 변인인 교사학생 친밀감과 교사헌신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장은 교사의 일터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workplace spirituality that teachers feel, teacher-student intimacy crea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commitment to school organization, students and classes which represents the degree of teacher's affectio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by 409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ong with those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which was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results, first, it shows that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on workplace spirituality.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on both teacher-student intimacy and teacher's commitment. Third, it shows that workplace spirituality plays a role as a full mediation factor in the relationship with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tudent intimacy while it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ation factor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paper is that it is the first analysis on the workplace spirituality in school organizations. Based on the analysis, school organizations can suggest that workplace spirituality is an important value for teachers. The principals are required to have an interest in the enhancement of the teache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they should demonstrate servant leadership in order to do so.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Kim Il),류태모(Ryu Tae Mo). (2016).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일터영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3 (2), 112-129

MLA

김일(Kim Il),류태모(Ryu Tae Mo).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일터영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3.2(2016): 112-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