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in college education: Focusing on native-English instructors’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명애(Ha Myeonga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5권 2호,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in college education, focusing on native-English speaking instructors’ classes. These programs were designed to help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xtracurricular courses taught by native-English instructors over an eight-week perio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A survey of 96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participants’ English competence was measured by interviews with native-English instructors both prior to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s. Data was also collected by students’ journals and from interviews with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help students achieve better communication skills. As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were not compulsory, the instructors claime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showed higher academic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were neither evaluations nor obligations for the programs, instructors had difficulty in effectively managing their classrooms and controlling students’ absence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such as connecting evaluations to the regular courses as well as level-differentiated classes for helping students achieve highe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의 효율성 연구: 초·중학교 영어캠프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 중심 영어 수업에서 문법 교수 시기에 관한 성인 학습자들의 인식 연구
- The Impact of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English Underachievers’ Early Literacy Development
- 대학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연구: 원어민교수 수업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for Teaching Idioms: Intuition, COCA, and a Boo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