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Guideline for Operant Conditioning Analysis in Game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최재원(Jae Won Choi) 고욱(David Wook Koh)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7권 4호, 21~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perant conditioning has been acknowledged as a powerful force in game design. There have been many arguments that reinforcement is a too powerful tool of operant conditioning that they compromise the will of the player. Even though Skinner wrote a book of “The behavior of organisms: an experimental analysis”in 1938, operant conditioning is still a misunderstood concept especially in the game design domain. Operant conditioning exists whether or not designers are aware of it. Many people seem to assume that there are no operant conditioning in a game unless they are explicitly added in the game design. Any pattern in how that reward is provided is an operational conditioning of the sort described by behavioral psycholog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w to properly make use of the operant conditioning to analyze and enhance game play experience. When designers make efforts to implement a system to reinforce game players’particular behavior, they have to figure out how to implement operant conditioning by themselves. This often results in mis-uses of operant conditioning or too much uses of reinforcement in game desig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s an operant conditioning analysis guideline that can be used to make game designs better. We showed how the operant conditioning could reinforce the game play and improve game designs using the guideline. The futur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reinforcement mechanism and to use it for educational or serious game design.
                    목차
1. 서론
	                       
	                          2. 관련 연구 및 동향
	                       
	                          3. 게임 기획에서의 조작적 조건화
	                       
	                          4. 조작적 조건화 가이드라인
	                       
	                          5.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 on Online Games Overflow
 - MMORPG 진영 간 전투의 스토리텔링 연구
 - 게임 기획에서의 조작적 조건화 분석 가이드라인
 - 컴퓨터 게임의 이용 패턴과 정서지능에 따른 게임 과몰입 분석
 - 실외형 증강현실 게임을 위한 도심환경 위치 추정 방법
 - 게임의 정의 및 속성에 관한 연구
 - 아동의 동화 창작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저작 환경에 대한 연구
 - Bullet 물리엔진에서 대규모 강체 충돌 처리 성능 프로파일링
 - 모바일 게임 <회색도시1>의 필름에 나타난 인터랙션 내러티브 구조 연구
 - 청소년의 공격성 및 우울과 게임이용간의 관계에서 통제의 매개모형 검증
 - 반응-확산 모델을 이용한 헤드컷 스타일 생성 방법
 - 노인의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융합콘텐츠 디자인 연구
 - 시각적 오류 문제를 경감하는 Oculus Rift 기반 3D 입체 게임 구현
 - 스마트 카지노 프로모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객체조작 빈도를 높인 상호작용 증강 게임의 개발 및 평가
 - 사실적 효과음이 게임 사용자들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 게임 이용자의 사회적 자본과 자기 효능감이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션 센서를 이용한 호환성 있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개발
 - 무한대의 사용자 경험을 도출하는 오픈시나리오 온라인 공포게임 구현 및 평가
 - 게임 하드웨어 플랫폼의 선호도에 따른 게임 디자인종류와 게임 미디어 선호도에 대한 연구 : PC 플랫폼 중심으로
 - 로그 분석 기반 사용자 맞춤형 동적 레벨 디자인
 - 3D HMD의 멀미증상 완화를 위한 조작방법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마음상태와 스마트폰 및 게임중독
 -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트램폴린 배틀’ 제작 연구
 - 직관적인 손동작을 고려한 립모션 기반 게임 인터페이스의 개발 및 평가
 - 건강 격차의 인본적 권리 실현을 위한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