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용 게임 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nalysis of Education Game to Support Curriculum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임장현(Jang Hyun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6권 4호, 167~17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ultimedia game contents is effective and efficient instruction media to suppo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have attention and learning difficulties. Many education game programs have
developed to enhance learning fluency and learner’s interest. These programs also can be appli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cessfully. To this, education game program is designed to access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to assess and suggest education game program accessibility, 6
education game programs were reviewed through teacher’s recommendation. Also These programs were rated 5
point likert scale by 30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ccording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9 guidelines. The results show that well designed education game program applied efficiently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need to consider practices to enhance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연구절차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프집합 분석을 통한 악기음원의 분류에 관한 연구
- 비사실적 렌더링 기법에 의한 3D 카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
- 국내 게임 분야에서 플로우 연구의 동향
-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게임콘텐츠 개발
- 모바일 게임의 몰입, 지속적 이용의도에 대한 선행요인
- 스마트 플랫폼 기반 성경 게임의 설계와 프로토타입핑
- SNG(Social Network Game) 활성유저 이탈률을 통해 본 모바일 플랫폼 기반 SNG의 미래에 대한 고찰
- 자기 위생 관련 기능성 게임이 유아의 자기 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게이미피케이션에 기반한 게임 3.0 시대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기능성 게임을 위한 BCI 입력 인터페이스 연구
- 발달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용 게임 분석
- 예술적인 게임 동영상을 위한 연필 렌더링 기법
-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디지털 치매 예방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게임에 적합한 중국어 편방(偏旁) 입력기법의 UI 디자인 연구
-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의 지속적인 게임 사용의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 敎育用 Game 談論: Pedagogical Game
- 게임을 활용한 문화재 교육용 앱 개발
- 한중일 프로바둑기사 포석 분석
- 다시점 디스플레이 중간 영상 생성에서 깊이 정보 양자화 방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게임업체의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3차원 서페이스에 대한 폴리오미노 타일링
- 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손금 인식 기술 연구
- 아동의 부정적 감정 완화를 위한 기능성 게임 디자인 요소 연구
- 효율적인 게임 제작을 위한 스케치 기반 영상 검색 기법
- 도감형 애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적 스토리텔링
- 키넥트를 이용한 손 인식 인터페이스 기반의 대화식 영상 클리핑 시스템
- 온라인 메신저 기반의 협업 측정 방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 범주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가 혼합된 시계열 데이터 예측 기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