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번영감(Thriving at Work) : 개념, 선행 영향요인, 그리고 효과성
이용수 2,151
- 영문명
- Thriving at Work: An Empirical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iving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박상언(Sang Eon Park) 김학수(Hack Soo Kim) 임영재(Young Jae Im)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4권 제2호, 155~1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번영감(thriving at work)은 조직구성원이 업무수행 중에 느끼는 ‘활력감’(vitality)과 ‘학습감’(learning)이 결합된 개념이다. 즉 번영감이란, 구성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에너지의 충만함과 자신감을 느끼고, 또 자신의 일을 통해 스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는 느낌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 선행 논의들에 따르면, 이러한 번영감은 직무열의나 복원력 등 다른 긍정 심리 개념과도 차이가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직행동 분야에서 번영감에 대한 연구는 아직 그리 많지 않아서, 관련 변수들에 대한 실증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취지에서, 본 연구는 번영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영향요인으로서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직무자율성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 있다. 또 번영감의 결과 내지는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역할 내 차원에서는 고객지향성을, 그리고 역할 외적인 차원에서는 이타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 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해 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선행영향요인과 효과성 변수들 간에 번영감이 수행하는 매개효과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종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라 볼 수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KNPS)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동일방법분산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3주의 시차를 두고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직무자율성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번영감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었다. 또 번영감은 연구대상 조직에 있어서도 여러 면에서 의미있는 조직효과성 변수였던 고객지향성, 이타적 행동, 그리고 적극적 참여행동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번영감은 이들 선행 영향요인과 효과성 변수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해 주는 경영관리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이 함께 토론되었다.
영문 초록
Thriving at work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individuals experience both a sense of vitality and learning at work. Since the construct and conceptual model of thriving was first raised a decade ago,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iving at work. Up to now, however, no sufficient research on relevant variables has been conducted because the study of thriving at work is still in its infanc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rust in one’s supervisor and job autonomy as the antecedents of thriving at work, and its consequential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thriving at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variables. For this study, we surveyed employees working in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at two separate points in time, with a lag of three weeks. This measurement strategy wa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common method variance.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rust in one’s supervisor and job autonom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riving at work. In addition, thriving at work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consequence variables. Moreover, as expected in the hypothesis, the mediating role of thriving at work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variable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then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