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idegger's Philosophy and Ontolog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임태평(Lim, Tae-Pye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58集, 105~1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rin Heidegger(1889-1976) is German existential philosopher in the twentieth century, but his methods of philosophy is by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Heidegger, although was not a student of Husserl's, was influenced by Husserl's philosophy. He studied Husserl's major works and worked as assistant from 1920-1923 at the University of
Freiburg.
In this paper, I shall try to analyze and interpret Heidegger's philosophy and ontological education which he reinterprets Plato's famous “allegory of cave” in the Republic. To sum up:
1. The Preliminary Fundamental Analysis of Dasein: Being-in designates a constitution of being of Dasein, and is an existential. Thus, a phenomenological fundamental structure of Dasein is being-in-world, and its existential meaning is care as being.
2. Heidegger's Philosophy of Ontological Education: Through a hermeneutic excavation of Plato's famous “allegory of the cave” in the Republic, Heidegger seeks to look for the most influential understanding of “education” in Western history: Plato's conception of paideia.
It is against false interpretation of education in Western history of education that Heidegger advances his conception of real or genuine education(echte Bildung), the essence of paideia. What Bildung expresses is twofold: Bildung means forming in the sense of impressing character that unfolds, but at the same time this forming impresses a character,
one education from without(Metaphysical Education) and the other education from within(Ontological Education).
Finally, Heidegger suggested the ontological education: education of negative freedom and education of positive freedom. But the real freedom(positive freedom) is attained only in 3 stage in Plato's “allegory of cave” by not instructing, but teaching, because learning culminates in teaching.
목차
Ⅰ. 서론
Ⅱ. 하이데거, 철학과 현상학
Ⅲ. 현존재 개념의 분석
Ⅳ. 존재론적 교육의 철학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