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문화포용성 분석을 통한 반편견교육 방안
이용수 356
- 영문명
- On Direction of Anti-bias Instruction Through Analysis of Cultural Embrac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정연(Lee, Jeong Ye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8집 1호, 47~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된 요소 중 하나는 타문화에 대한 편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문화포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반편견교육에 활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반
편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을 측정하여 문화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문화포용성 수준에 맞는 반편견교육 방안을 개발 및 적용한 후 문화포용
성 수준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반편견교육 실시 후 사례군의 문화포용성 (지식)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검증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포용성(태도)에 대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학습에 대한 관심 및 호감도, 편견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반편견교육 실시 전에 비해 교육 후에 향상되었고, 반편견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Cultural embrac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one’s own culture and other foreign cultures, and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without prejud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scale of measuring anti-bias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nti-bias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level of cultural embracing ability after the anti-bias training, based on each student's level of development and cultural embracing abilities.
Differences in cultural embracing ability(knowledge domain and attitude domain)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results of the case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s. Interest in cultural
learning and awareness of the negative effects of prejudice were improved after the anti-bias training. Anti-bias trai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ers' cultural embracing ability should be planned and conducted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문화포용성 수준에 따른 반편견 교수·학습 자료 개발
Ⅳ. 수업 효과의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