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가정 논문의 피인용 증가를 위한 대안 모색
이용수 485
- 영문명
- Citation network of family studies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유재언(Yoo, Jae-Eo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8집 1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10개 가족・가정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4,169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논문의 피인용횟수가 세부주제, 학술지 간의 인용관계망 중심성 및 자기인용비율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초중고 가정, 노년기가정, 부모・자녀관계, 국제이주・다문화, 일가정・가족친화, 건강가정・지원을 주제로 한 논문들은 이러한 것들을 주제로 하지 않은 논문들에 비해 피인용횟수가 많았다. 반면, 가사・일상관리, 소비・재무, 의생활, 주생활・지역사회, 의례・전통가족, 가족생활교육・상담을 주제로 한 논문들은 이러한 것들을 주제로 하지 않은 논문들에 비해 피인용횟수가 적었다. 학술지의 경우 자기인용비율이 낮을수록 해당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피인용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가 폐쇄적인 인용관계망 구조에서 중심성이 높은 경우보다는 개방적인 인용관계망 구조에서 중심성이 높은 경우 논문의 피인용횟수도 많아진다는 결과는 부분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가족・가정 논문들의 인용관계망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itation network of 4,169 family studies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10 Korean academic journals 2004-2013. The citation information of articles and Korean academic journals in family studies field was extract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https://www.kci.go.kr/)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multi-level analysis. The multi-level analysis results address that the topics are more likely to be cited such as the family with childre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elderly family, the parent-child relations, the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the work and family balance, the healthy family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Whereas, the articles are less likely to be cited if the topics are on the housework, the consumption and finance, the clothing life, the housing and community life, the family ritual and traditional family, and the family life education and counseling.
Family studies articles are more likely to be cited if the academic journals are more likely to be cited from other Korean academic journals rather than to be cited from themselves.
Tho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an impact factor of Korean family studies articles is determined by not only research topics but also the network structure of academic journ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