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ing a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Political and Ideological Tendency Perception toward the Poli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unHyuk Ryu TaeKyung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2, 129~1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는 2013년 서울에서 무작위 추출된 2091명의 설문조사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연구에서 시민들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은 경찰에 대한 다양한 시민들의 인식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18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자를 지지한 사람들이 박근혜 후보자를 지지한 사람들에 비해 경찰에 대한 신뢰성, 경찰 대응 만족, 경찰 범죄 효과성 인식에서 더욱 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결과는 자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서 경찰에 대한 인식에서도 차이를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중도와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보수 이념적 성향을 가진사람들에 비해 경찰 신뢰성, 경찰 시민 대응, 경찰 범죄 대응에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찰의 시민들로부터 지지와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범죄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넘어서 정치적 측면에서도 중립성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n the basis of survey data on 2091 randomly selected in Seoul at 201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adopted and foun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 people who voted for candidate Moon Jae-In are morelikely to show negative perceptions in trust for police, satisfaction for police response, police crime fighteffectiveness than people who voted for candidate Park Keun-Hye at 18th President election. Second, thisstudy also found that ideological tendency also have effect on various public perception toward police. peoplewho have progressive or moderate ideology are more likely to show negative perception toward police thanpeople who have conservative ideology in trust for police, satisfaction for police response, police crime fighteffectiv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e organization must maintain neutrality from political powerto get citizen’s help and fight for crime effectivel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한국의 선행 연구
Ⅳ. 연구방법
Ⅴ. 분 석
Ⅵ.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규제정책이 사행산업 시장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ost-2015 체제에 따른 개도국 기후변화적응 공적개발원조 사업 전략에 관한 연구
- 재난관리 예측적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론적 검토
- 한국의 위기 대응과 정부 책임성
-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화 방안
- 생활화학가정용품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소비자역량 척도개발
-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우려와 표시정보신뢰가 표시확인행동 및 비용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재난관리시스템 재편에 따른 공무원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 시민의 정치적 그리고 이념적 성향과 경찰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연구
- 지역아동센터 이용 장애아동의 발달 단계적 위기대처 방안 모색을 위한 실태조사
- 미국의 식품테러 대응시스템과 한국에의 시사점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 강우시 인터블랜딩을 통한정수처리 시스템 안정화 방안 연구
- 소방 조직문화와 조직역량의 관계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확률일강수량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