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edical Discourse of Orient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Focusing on the Consumption Discourse Analysis of Homegrown Agricultural Products -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이성오(Seong-O, Lee)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22권 4호, 465~4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s consumers’ medical discourse embedded in the consumption of orient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Despite the fact that both of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s legally accepted, people tend to recognize that accurate diagnosis is possible only in the latter. As the iscourse that oriental medicine, compared with western medicine, has an auxiliary position is widely spreaded, the rivalry between herbal medicin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come to be formed. And it led to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e of herbal medicine consumption and the growth of health supplement market. Herbal medicine is compared to red ginseng, one of the representative health supplement. Negative notion such as using an Asian herb from China and side effect of hepatotoxicity influences herbal medicine consumption. This study argues two conclusion.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that of health functional foods results from the discourse of scientific reconstruction,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ll of which come from globalization discourse. Second, medical discourse embedded in these commodity, in the end, has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경쟁관계 형성과정
5. 한약소비에 내재한 의료담론
6. 건강기능식품 소비에 내재된 의료담론
7.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표지(국문)
- 표지(영문)
- 목차
-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지각된 유용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농촌체험의 속성과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농촌의 다문화와 비 다문화 가구 청소년의 인성과 영향 변인 비교
-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의료담론 분석
- 농업경영체의 브랜드 자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 강소농교육 참여 농업인의 직무성과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학습전이의 구조적 관계
- 커뮤니티 비즈니스 특성에 관한 연구
- 양파 출하시기 도매가격 예측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농촌지도와 개발 32권 2호 목차
- AHP 분석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공요소 - SLEN모델을 기반으로
- 청년농업인 교육만족도 영향요인 - 영농정착교육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