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reference of the Mega-event image regarding a difference analysis - Focused on 2004 Gwangju Biennale, 2004 Busan Biennale -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고호석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1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제문화예술축제인 2004년 광주비엔날레와 2004 부산비엔날레 내국인 방문객들에 대한 주요 축제 이미지요인들을 확인해 내고, 확인된 이미지요인을 근거로 대응일치분석을 통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ㆍ내외 이미지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문화예술축제이미지 28개의 속성들을 도출하여 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광주비엔날레는 교양ㆍ체험성, 유희성, 행사정보성ㆍ내용성, 이용성, 운영성, 시설편의성 등의 6개 요인이, 부산비엔날레는 교양ㆍ체험성, 유희성, 행사정보성, 행사내용성, 이용성, 운영성, 시설편의성 등의 7개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제문화예술축제인 축제이미지 속성을 중심으로 대응일치분석을 통하여 인구통계적인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mage preferences of the 2004 Gwangju Biennale and 2004 Busan Biennale using a correspondence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s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 factors with respect to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using a multiple regression. For this end, image items were factor analyzed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and varimax rotation procedure in order to delineate underlying dimensions of image associated with the 2004 Gwangju Biennale and 2004 Busan Bienna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 that 28 image items were classified as six dimensions for the 2004 Gwangju Biennale and seven dimensions for the 2004 Busan Biennale.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ree of all image factors (e.g., education, operation, entertai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veral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sion.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ence analysis also indicate that some image factors were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기업에 있어 비정규직의 증가가 이중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통문화축제의 서비스 평가에 관한 연구
- 호텔 피트니스센터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정서적 요인이 관여수준에 따라 행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관광객의 문화관광 행태에 관한 비교 연구
- 항공사의 시장지향성과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컨벤션 인적 서비스품질이 참가자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이커리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영상촬영지 관광객의 선택속성과 태도에 관한 연구
- 남한거주 탈북자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만족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의 학습지향성 및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가이벤트 이미지에 따른 선호도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관광정책과 지역활성화
- Predicting Winter Sports Participation Intention
- 관광산업의 서비스품질 측정 연구에 대한 비판적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지역축제의 민족 정체성 담론,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나: 명랑대첩축제에 대한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 관광 매개자의 지역 인구유입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고찰
- 야간관광은 소멸위기 지방 소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는가?: 경북 성주군 사례 심층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