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interpretaion of Socrates’ Elenchos as a Techne for Life:In viewpoint of Oakeshott’s “Convers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방진하(Bhang , Jina)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9권 제4호, 79~1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 은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을 오우크쇼트의 ‘대화’ (conversation) 개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논박술이 가진 ‘삶의 기술’로서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대화편『고르기아스』에서 칼리클레스는 삶을 살아가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서 연설술(rhetorik e)을 옹호하면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쑥덕공론으로 몰아붙 인다. 이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을 기술(techne)이 가진 자격 요건에도 못 미치는 아첨이라고 폄하하면서, 자신의 철학이야말 로참된 정치술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기술의 성립요건에 비추어 논박술이 가 진 기술로서의 성격을 알아보고, 논 박술이 대화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이해’를 통하여 실재를 추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삶의 기술’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한 편, 인간의 자기 이해를 존중 한다는 점에서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은 소크라 테스의 논박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우크쇼트가 목소리들의 관계와 자아의 상상 활동에 초점을 두어 강조하는 ‘대화’ 개념에 비추어 논박술을 재해석해봄으로써, 소크라테스 의 논박술과 오우크쇼트의 대화가 ‘삶의 기술’로서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 석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Socrates’ elenchos as a techne for life in viewpoint of Oakeshott’s conversation. This reinterpretation aims to explore possibilities which two thinkers might share a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that philosophy as an activity would arouse to interlocutors. According to Socratic elenchos, knowledge is always relate 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while an oratory or a rhetoric skill just intends to persuade the crowds in pursuit of success or reputation. In viewpoint of Oakeshott’s poetic conversation which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Socrates’ elenchos can be reinterpreted as a good example of Oakeshott’s conversation. While So crates’ elenchos always seeks for an “eidos of dikaiosyne” , poetic conversation does not seem to follow any destination which is fixed as a common good or final end. Withoutstanding this difference, the philosophical asp ect of conversation suggests that poetic conversation provides freedom for self which postulates a ‘better’self - understanding by making h is own images and enjoy them.
목차
Ⅰ. 서론: 철학과 삶의 기술
Ⅱ. 소크라테스의 논박 술과 삶의 기술
Ⅲ.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과 삶의 기술
Ⅳ. 논의: ‘대화’ 개념을 통한 논박술의 재해석
Ⅴ. 결론: 삶 의 기술로서의 대화와 교육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페스탈로치의『탐구』에 나타난 인간의 존재방식과 다문화교육의 과제
- 계보학적 교육 연구의 가능성 탐색
- 신라하대 선불교 도입기 선사들의 교화실천과 교학사상 : 도의․체징을 중심으로
- 핵심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코메니우스의 팜패디아(Pampa edia) 교육원칙에 나타난 기독교교육 사상
- 오우크쇼트의 ‘대화’ 개념 을 통한 소크라테스 논박술의 재해석: 철학과 삶의 기술
- 대학 교양교육의 재해석: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 Ian Hacking의 사상에 기초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정책 비판적 검토
- 조선시대 회화에 묘 사된 전통 육아의 함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