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Mobility Based on the Specific Residence Floor in Super High-Rise Apartment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박서니(Park, Sunny) 최정민(Choi, Jung-Min)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2권 제1호 (통권 제23호), 115~1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uper High-Rise Apartment (SHR-APT) building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in Korea over the decades. It is not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living condition and SHR-APT living space resulted from the "housing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There are however lack of researches on housing mobility and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of SHR-A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and housing mobility,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focused on residence floor in SHR-APT.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experience in SHR-APT affects residents’ preference floor and housing types such as SHR-APT that will be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future. Secondly, the analysis of residents’ satisfaction related to preference floor indicates that the boundary floor for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floor and satisfaction level is 21th
floor. Th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differs depend on the age, actual their own living floor, space structure, the type of past housing, and housing values of the resident, etc. Thirdly, the cluster analysis illustrates that two groups of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1’ prefers “urban / apartment / high-rise floor”, whereas the ‘Group 2’ prefers “suburb / detached house /low-rise floor”.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III. 거주층별 선호 거주층 특성
Ⅳ. 거주층별 주거만족도 및 주거의식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파트관리 서비스품질이 주거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 재생을 위한 문화관광형시장 개발 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고층아파트 거주층에 따른 주거이동 선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분석을 통한 지역유형화에 관한 연구
- 도심밀도관리를 위한 용도용적제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 斜面市街地における取り組みからみた 居住地としての持続可能性に関する研究
- 천안시 아파트 전세가격 결정요인
- 최근 은퇴계층의 주거면적 변동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오피스시장 주요 변수의 인과 효과 분석
- 가족구성원의 사회관계 변화와 주거이전 행태
- 역사가로 정비사업에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성확보에 관한 연구
- 지역자력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분석
- ‘부동산’용어의 의미연결망 분석
- A Study on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the Value of Office Building
- 고령화 과정에서 거주행태 분석을 통한 고령자의 주택개조 수용력에 관한 연구
- 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상인교육프로그램이 상인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 아파트 공용부위 하자유형 분류 및 하자 저감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공기관 건물의 기류속도 기반 쾌적성 확보 가능성 분석
- 공사중단 방치건축물의 실태와 공적개입 제도 개선방향 연구
- 비시가화지역의 성장관리계획 운영실태 분석 연구 -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