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강은 홍아정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1권 제2호, 109~1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과 학습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일-삶의균형이 이들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남녀구분 없이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25세 이상의 직장인 성인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인 학습가치, 학습애착, 학습효
능감은 학습성과인 삶의 질, 학습 만족도, 사회적 네트워크, 전문능력,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일-삶의 균형의 하위변인인 일-가족 균형을 제외한 일-여가 균형과 일-성장 균형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인의 일-삶의 균형이 조직과 개인의 성과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학습성과까지 창출할 수 있는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학습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 애착을 보이는 직장인 성인학습자들은 일, 여가, 자기개발의 균형을 이룸으로써 이는 자신이 성장한다는 의식을 갖게 하고 직장인으로서의 삶의 만족과 원만한 대인관계형성은 물론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전문능력을 높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평생학습 참여자의 주요 대상인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학습특성을 파
악하고 학습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연계할 수 있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함의와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their work-life balance, and with their learning outcom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between the variables. 302 adult learn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nd participa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adult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such as learner satisfaction,social networks and improvement in expertise, indicating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outcomes are closely correlated.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work-life balanc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characteristics of an adult learner and their learning outcomes . Academic bonding and academic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whil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Result from the study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ocial atmosphere where work-life balance is encouraged so that
adult learners with jobs can consistently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