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방형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189
-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Preventive Community Care Service Program for the Elderly -Focused on an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한창완(Chang Wan Han) 김언지(Kim Eon Ji) 세키타 야스요시(Yasuyoshi SEKITA)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3호, 91~1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일상생활 현황과 건강상태, 재가복지서비스 욕구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과 후기고령자는 식생활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고, 수면/식생활/ADL 곤란이 있는 고령자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수면/식생활/ADL 곤란은 생활만족도(QOL)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욕구에 있어서는 의료서비스와 일상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고, 건강관련 요소와 서비스욕구와의 관계에서는 불면증이 있는 노인과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따라서 수면, 식생활, 운동, ADL 등 고령자 개개인의 건강관련 요소의 상태를 고려한 효과적인 재가복지서비스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영문 초록
With the beginning of Long Term Care Insurance in 2008, the need to develop and expand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t Home is now gaining its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 the realities and the problems of Community Care Services and present th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Community Care Service Program through understanding the elderly's daily lives, state of health and needs for services.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up from our investigations. First, the elderly who were living alone or very old had problems in eating. Second, the elderly who had difficulties in sleeping/eating/ADL had worse health conditions and these difficulties in sleeping/eating/ADL also lowered the Quality of their Lives(QOL). Third, in terms of their needs, the elderly had stronger desires for the medical services and daily living support servi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good health and their needs, the elderly who suffered from insomnia or didn't exercise at all had higher needs for Home Nursing Servic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comprehensive Community Care Services considering the elderly's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and the factors of health like sleeping, eating, exercising, ADL, etc.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