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공무원인사제도에 있어서 아마쿠다리(天下り) 개혁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길종백 하정봉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2권 제2호, 135~1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 행정시스템에서 아마쿠다리는 순기능과 역기능의 양면을 가지고 있는데 2000년대에 들어 아마쿠다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정부조직에 의한 아마쿠다리가 금지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아마쿠다리 개혁의 배경, 주체 및 수단, 그리고 그 성과를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배경으로는 1990년대 이후 누적되어 온 정관관계의 변화, 관료제의 기능저하, 관료 부패 부각이라는 요인을 지적할 수 있으며 관료에 대한 '정치 주도성' 강화를 내세운 수상들의 리더십에 의해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아마쿠다리 개혁이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재취업 규제관련 기구의 신설과 함께 조기퇴직 관행의 시정, 전문스태프직 신설, 성과주의 인사의 강화, 인사교류 확대와 같은 공무원 인사제도 전반의 변화가 수반되었다. 규제강화의 결과 간부직 공무원 퇴직자수 및 비영리 특정법인으로의 재취업자 비중이 감소하여 개혁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쿠다리 개혁은 성청할거주의 약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기대되나 관료의 사기저하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대책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일본의 아마쿠다리 개혁 사례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우리나라 공무원의 재취업과 관련된 시사점으로는 첫째 재취업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둘째 실현 가능한 구체적 방안 마련, 셋째 관련되는 제도에 대한 보완 수정 노력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의 분석틀
Ⅲ. 아마쿠다리의 개혁 배경
Ⅳ. 아마쿠다리 개혁의 내용과 성과
Ⅴ. 결론: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