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술후 방사성 요오드 사멸요법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들의 재발 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Study on Recurrence-Related Factors of the Thyroid Cancer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고양석(Yang Seok Koh) 윤정한(Jung Han Yoon) 제갈영종(Yong Jong Jaegal)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8권 제2호, 173~17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after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have not been identified y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recurrence after thyroid surgery of the thyroid papillary cancer followed by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Patients and Methods: Fifty four cases who had underwent thyroid cancer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ean followup duration was 7 years. There were 41 women and 13 men. Data analysis was done retrospectively with medical record review.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ge over 40, capsular invasion, and loca invasion were the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 rate of recurrence. But sex, size of the tumor, multiplicity and extent of the surgery were not related to the recurrence.
Conclusion: Without the curative resection of the tumor,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cannot lower the recurrence rate. So aggressive resection of the thyroid papillary cancer is important.The more data accumulated and the longer the followup, the easier we can reveal the recurrence-related factors of postoperative radioactive ablation therapy.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GST)M1, GSTT1 및 GSTP1유전자 다형성 및 유전적 감수성
- 갑상선 촉지 종괴에서 시행한 세침흡인세포검사법, 동결절편검사법 및 초음파검사법의 진단적 유용성
-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원격전이와 관련된 임상적, 병리학적 예측 인자
- 후두암 세포주에서 TGF-β1에 의한 MMP2와 MMP9의 발현 양상
- Okadaic Acid에 의한 FRTL-5 갑상선 세포주의 Apoptosis 유도
- 주타액선에서 발생한 선양낭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성적
- 경부 결핵성 림프절염에서 외과적 절제수술후 항결핵제 요법시의 치료 성적
-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Using Weekly Cisplatin with or without Daily Oral UFT in Nasopharyngeal Cancer
- 갑상선으로 전이된 비인강암 1예
- 비인두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중 암의 국소진행으로 오인된 경부 연조직 감염 1례
- 설하신경 기원의 신경초종 1례
- 술후 방사성 요오드 사멸요법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들의 재발 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 진행된 두경부암에서의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의 치료효과
- 복합화학요법에 반응한 악성 사구체 종양 1예
- 비인강암에서 AJCC와 Ho 병기 결정법에 따른 T병기의 비교
- 이하선에 발생한 악성 근상피종 2예
- 하악골을 침범한 점액표피양 암종에서 하악 일부를 보전한 변형적 하악 절제술 치험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