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공간으로서 도산서당과 인성교육
이용수 140
- 영문명
- Character Education and Dosanseodang(陶山書堂) as an Educational Space :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이인철(Lee, In-Choul)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56集, 305~3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implication of Dosanseodang of Toegye as an educational space in humanistic education. So far, Korean education has neglected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specially the physical space. Instead, the economical efficiency has mainly been focused; especially, the spatial efficiency of school buildings which are basic to the educational space. Even though school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re theoretically close enough to perfect, the lack of the educational space results in the failure of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hus, this study considers Dosanseodang of Toegye in its educational aspect. Dosanseodang had been built in Toegye’s old age, and his philosophy of education was involved in it. Unlike Dosan Seowon, Dosanseodang has a horizontal hierarchy. Its meanings as an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first is a place for ‘learning to become a sage(We-Gi-Ji-Hak)’; second for ‘enjoying in nature (San-Lim-Gee-Rak)’; and third for ‘beautiful end of life(Gun-Ja-You-Jong)’. With this, the link between Dosanseodang and its place for humanistic education will be also dealt with as follows; first, as a place for a life of meditation; second, for timely life(See-Jung-Juck); and third for a harmonious communication in life. Egression, profundity, concealment are three key words to understand Toegye’s life. Regression is a word that expresses Toegye’s intention hoping to live a cloistered life. Profundity is a practical action of Regression. Concealment is the completion of ‘rural life’ through the consistent interaction of both regression and profundity. Finally, Toegye’s life is to enjoy the united harmony with the earth, the sky and natur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도산서당의 교육공간적 의미
Ⅲ. 인성교육적 함의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움의 본질에 대한 고찰 : 『논어』를 중심으로
- 교육공간으로서 도산서당과 인성교육
- 구성주의 지식론의 교육적 재개념화
- 중국의 미래 교육 발전전략 연구
- 한국의 인성교육에 대한 도전 : 슈타이너로부터 배우는 거꾸로 발상
- 미국교육체제에서 평가의 현재와 미래
- 보육의 학교교육화 이데올로기와 교사 전문성 향상 제고
- 한국-독일 학교 교사 인식에 기초한 소통중심 미래교육 탐색
- The Future of American Education : Trends, Strategies, & Realities
- 2045년 한국의 교육분야 미래전망과 정책방향
- 『순자』의 「악론」과『여씨춘추』가 유아음악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