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인성교육에 대한 도전 : 슈타이너로부터 배우는 거꾸로 발상
이용수 217
- 영문명
- A Challenge to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 Conceptual Shift Learning From Rudolf Steiner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유라(Kim, Yu-ra)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56集, 193~2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on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actively done with an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and teachers try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Recently character education direction in Korea is to expand the hours of ‘character education’. The pan subject areas of national curriculum is added to ‘character education’, many programs for character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Teachers take efforts to
teach ‘character’ to students with a variety of theories and programs. However, since good character has made with on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when character education is integrated with knowledge education in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curriculum, students will grow up to be whole persons. This study is to learn character education from Rudolf Steiner’s anthroposophy in terms of Korea’s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teiner’s character education to be in harmony with the world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in the practice
of our charact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인지학(人智學)에서의 인성형성
Ⅲ. 슈타이너로부터 배우는 인성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움의 본질에 대한 고찰 : 『논어』를 중심으로
- 교육공간으로서 도산서당과 인성교육
- 구성주의 지식론의 교육적 재개념화
- 중국의 미래 교육 발전전략 연구
- 한국의 인성교육에 대한 도전 : 슈타이너로부터 배우는 거꾸로 발상
- 미국교육체제에서 평가의 현재와 미래
- 보육의 학교교육화 이데올로기와 교사 전문성 향상 제고
- 한국-독일 학교 교사 인식에 기초한 소통중심 미래교육 탐색
- The Future of American Education : Trends, Strategies, & Realities
- 2045년 한국의 교육분야 미래전망과 정책방향
- 『순자』의 「악론」과『여씨춘추』가 유아음악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