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시경제변수가 공매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1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ponse of Public Auction Market by the Macroeconomic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백석기(Baeck, Sug-kee) 정재호(Chung, Jae-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2輯, 19~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매낙찰가율은 공매절차의 이해관계자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경제 변수가 공매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을 시계열로 실증분석 하였다. 거시경제변수에는 체납압류부동산 공매낙찰가율과 소비자물가지수, CD금리, 주택매매가격지수, 지가지수, 경제심리지수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그랜저인과관계검정 결과에서 소비자물가지수, 지가지수, 경제심리지수가 공매낙찰가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 분석에서는 공매낙찰가율은 소비자물가지수 충격에 정(+)의 반응, 경제심리지수 충격에 3개월 후부터 정(+)의 반응, 주택매매 가격지수의 충격에 꾸준한 정(+)의 반응, 금리충격에 2개월 후부터 부(-)의 반응, 지가지수(LPI)의 충격에 정(+)의 반응을 보였다. 분산분해 분석에서는 초기에는 공매낙찰가율 자기자신에 의해 88% 이상 설명되다가 차츰 지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의 설명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tries to delve into the impact of macro economic variables over the bid rate of public a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e series analysi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limits its contents to macro economic variables as well as the bid rate of public auction(BP) of the seized property. The Consumer price index(CPI), The CD rate,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HPI) and Land price index(LPI) and Economic sentiment index(ESI).
(3) RESEARCH FINDINGS
The CPI, LP, ESI directly affect the BP in Granger Casuality Test. In the Impulse-response analysis, the BP ros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CPI by one unit increase of its standard deviation. The positive response was also shown in the ESI 3 months later. As far as the impulse on the housing sales price index, the positive response has been steadily observed. Regarding the impulse on the interest rate and the LPI, the negative and positive correlations have been seen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the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more than 88% of the phenomena can be explained by the SB itself in the initial stage.
2. RESULTS
We find the CPI, LPI, ESI have directly affect the BP.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선행연구 검토
1. 거시경제변수와 경매시장·공매시장 선행연구
2. 부동산시장과 경매시장 선행연구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연구의 차별성
Ⅲ. 분석의 틀 및 모형
1. 분석자료 구축 및 변수선정
2. 거시경제변수와 공매낙찰가율
Ⅳ. 실증분석 결과
1. 단위근 검정결과
2.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3. 적정시차 검정
4. 공적분 검정
5. VEC모형 추정결과
6. 충격반응분석
7. 분산분해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원랜드 카지노 입지의 삶의 질 향상효과에 대한 인식
- 주택모기지론 거래은행 선택요인 분석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 행복주택사업이 타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거시경제변수가 공매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임대차분쟁조정제도 도입에 관한 법적 고찰
- 부동산펀드 성과 영향요인 분석
- 매장용 임대 빌딩의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
- 부동산경매에서 유치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주택시장 버블지표 추정연구
- 오피스 소유주체의 업종특성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 유치권자가 신청한 경매와 다른 경매절차와이 경합
- 서울시 간접투자대상 오피스빌딩의 실질임대료 및 Cap. rate 비교연구
- GARCH, EGARCH 모형을 이용한 주택 매매, 전세, 월세시장의 변동성과 이전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지표와 서울시민의 정주(定住)의식에 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