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樂善齋本『紅樓復夢』의 飜譯樣相
이용수 73
- 영문명
- The study on translations of le-shan-zhai Hong-Lou-Fu-Meng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김명신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21집,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紅樓復夢』是鎭江出身的陳少海創作的作品, 與『紅樓夢』系統的其他作品相比, 100回的篇幅足以算得上一部長篇大著了. 在這部作品中, 大部分人物都得以再世重生, 反而只有薛寶釵沒有重生, 타不僅歷經兩代人的生活, 而且在復雜而漫長的現實中表現出一種英雄的形象. 在這一點上, 和其他『紅樓夢』系作品有着相當大的差別.
『紅樓復夢』大約是在19世紀流傳到我國的. 其譯本大體上可以說是繼承了樂善齋本飜譯小說的基本特點. 特別是, 直譯和縮譯爲主的飜譯方式與其他樂善齋本譯著非常相似. 而且樂善齋本『紅樓復夢』不僅僅是一部飜譯著作, 更重要的是타具有全面介紹中國文化的意義. 樂善齋本『紅樓復夢』在飜譯上有以下幾個特徵: 1. 直譯爲主的飜譯. 2. 附加讀音的中國詩的飜譯. 3. 中國話的音借譯及漢字語的大量使用. 4. 對一部分內容進行意譯. 5. 一部分內容的誤譯, 縮譯及添譯. 6. 加强雙重元音和混合發音標記.
樂善齋本『紅樓復夢』的飜譯不可以說是完美的作品, 而且在我國的國語學史上也可以說是珍貴的資料. 同時也爲我們深入的理解中國文化提供了良好的參照. 因此也可以說這是一部在深度和廣度上値得繼續硏究和探索的作品.
목차
1. 들어가는 말
2. 『紅樓復夢』의 작자와 내용
3. 樂善齋本『홍루부몽』의 번역 양상
4. 맺는 말
<參考文獻>
<中文提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金庸 武俠小說의 江湖, 그 이상과 충돌
- 樂善齋本 <補紅樓夢>과 <紅樓夢補>의 飜譯 樣相
- 《紅樓夢》東觀閣本評點的體例
- 瞿佑交游考
- ▣ 논평과 반론
- 텍스트의 생산과 인쇄, 그리고 독서 관습의 관계에 대하여
- 數字化時代的中國古代小說硏究
- 樂善齋本『紅樓復夢』의 飜譯樣相
- 元明中篇傳奇小說的發展曆程及其特征
- 소설에 나타난 한중 양국의 상호 인식
- 數字化時代的校勘學思考
- 《紅樓夢》對人情小說傳統的反思與超越
- 한글 筆寫本『瑤華傳』의 飜譯 및 變異樣相
- 문언, 백화 그리고 백화소설 - 전통시기 중국의 문학 언어에 관한 탐색 시론
- 韩国中国学(汉学)研究的信息化现状
- 『西遊記』의 沙悟淨 人物 形象 硏究
- 試論《紅樓夢》中的俗語運用
- 網絡時代的明淸小說
- 《兒女英雄傳》的思想二題 - 以《儒林外史》爲參照
- 中國 古典小說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明淸小說數字化應用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The Impact of Cross-National Distance on Chinese Firms’ Ownership Choice in Cross-Border Mergers and Acquisitions
- An Analysis of the Nexus between Remittances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a Panel Analysis of 4 South Asian Countries
-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on Job Burnout among Hotel Employees in China: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