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論三言二拍선變過程中所體現的文人化創作傾向
이용수 16
- 영문명
- Discussing the literati creating tendency during the course of transmuting of “San Yan(三言)” and “Er Pai((二拍)”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程國賦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18집,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三言二拍在明末以后的戱曲、小說作品中被大量改編,据筆者統計, 共有86篇擬話本被改編,出現125篇선變之作, 主要是集中在明末淸初的戱曲作品。與原作相比, 선變作品存在明顯的文人化創作傾向, 具體體現在三個方面: 文本創作重心和表現對象的文人化; 關注文人話題; 注重社會敎化功用, 筆者試圖對此加以論述, 幷從實學思潮的熏染、 文人主體意識的覺醒以及社會現實影響等方面分析出現文人化創作傾向的原因。
영문 초록
“San Yan(三言)” and “Er Pai((二拍)” were adapted a lot in the tradition operas and novels after the end of Ming dynast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add up to 86 “Imitating Hua Ben(話本)” were adapted and it appeared 125 transmute opuses. They were concentrated in the tradition operas principally in the beginning of Ming Dynasty and the end of Qing Dynasty. Compared with the manuscripts, it existed obvious literati creating tendency in the transmuting opuses. It embodied specially by three aspects, which were the literati tendency of creating core of opus in the opuses and showing objects, and showing concern over literati topic of conversation, and paying attention to society edify function. I try discussing them and assaying the seasons that literati creating tendency appeared from edifying of actual learning ethos and awakening of literati’ main body awareness and society reality influence.
목차
一、文本創作重心和表現對象的文人化
二、關注文人話題
三、注重社會敎化功用
<參考文獻>
<中文提要>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鐵拐李의 由來와 한국적 變容
- ‘조선 작가’ 소설과 중국 현대문단의 시각
- 1920년대 중국 여성소설에 나타난 타자성에 관한 시론
- 孝感 제 양상
- 科技啓蒙到小說啓蒙 : 晩淸時期傅蘭雅的啓蒙活動
- 『綠牡丹』의 사상과 인물 유형에 대한 연구
- 『걸리버여행기』와 『鏡花緣』에 나타난 사회비판과 이상향
- 宋元話本小說之「市井空間」探討
- 『聊齋志異』의 志怪傳統小考
- 『新石頭記』與『新紅樓夢』著者考
- 關羽性格的선變與『三國演義』人格敎育傾向
- 王統照의 <山雨> 硏究
- 中國ㆍ日本의 주요 근대소설 이론의 특징 연구
- 包公, 歷史에서 文學 속으로
- 沈從文의 文學觀
- 『鍾離葫蘆』와 우리 나라 稗說 문학의 관련 양상
- 연세대 소장 번역 고소설 필사본 『옥지긔(玉支璣)』 연구 - 고어 자료를 중심으로
- 해파소설중의 젠더와 도시서술
- 論三言二拍선變過程中所體現的文人化創作傾向
- <論評文>
- 淸末의 '韓國' 題材 小說 硏究
- 『齊東野語』중의 小說題材 유형 분석 初探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