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Eastern Ethics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환희(Jeong Hwan hui)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62집, 57~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양윤리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ㆍ종합ㆍ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도덕과교육이 그 역사적 출발점을 동양적 수양론에 상정하고 있는 점과 동양윤리적 내용요소가 학생들의 도덕성 진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볼 때, 도덕윤리과교육에서 동양윤리교육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따라서 그간 도덕교육학계에서 논의된 동양윤리교육 관련 연구 성과물을 검토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연구과제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덕윤리교육 관련학회에서 발행하는 5개 학회지를 선정,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 출판된 학술 논문 중 동양윤리 관련 분야를 주요 연구 주제로 삼은 473편을 수집하였다. 해당 논문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현행 동양윤리교육 학술연구 경향을 파악, 반성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동양윤리교과교육학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t together and evaluate existing researches on eastern ethics education. Since the historical beginning of Korea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one, and eastern ethical cont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boosting students' morality, the eastern ethics education plays a highly significant role in moral education. Thus, it is inevitable to review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eastern ethnics education that have been discussed in moral education academic world. Hence, five academic journals by moral education societies were selected and 473 ones on eastern ethics education were collected among academic dissertations from their first issue to ones published in 2014. The study figured out and reviewed current academic stream of the eastern ethics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assertions, and suggested an improvement for the research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동양윤리교육의 의미와 범주
Ⅲ. 문헌 분석 방법
Ⅳ. 동양윤리교육 학술연구 경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