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직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 분석
이용수 981
- 영문명
-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 On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안도희(Doehee Ahn) 안병국(Byungkuk Ahn)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0권 제2호, 73~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방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공공서비스 동기, 정서적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가 차이를 보이는지, 정서적 조직몰입이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이들 세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에 소재한 2개 군청에서 근무 중인 지방직 공무원 총 336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공무원이 202명, 여자 공무원이 133명, 성별을 밝히지 않은 공무원이 1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공공서비스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감성적’ 차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서도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조직몰입은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자 공무원과 여자 공무원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공공서비스 동기 향상을 통해 정서적 조직몰입이 증진되며, 이는 곧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nks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nd gender differences on these relations. The final sample was 336 local public officials (202 males, 133 females, 1 unidentified) working in 2 counties in Chuncheong Province, Korea. It was found that male officials had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gender. It is expected that increa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helps to enh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creased affective commitment contributes to better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ublic official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