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ent Preferences and Expert Views: Three-Type Picture-Based Creative Story Writing Task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서희(Seo hee Kim) 배정옥(Jung ok Ba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1호, 209~2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을 사용한 세 유형의 이야기 쓰기 과제를 개발하고 각각 Series, Predict, Connect라 명명하였다. 이 과제 유형들을 학생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게 제시하여 이들의 관점에 의거하여 과제 특성과 반응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137명의 학생들에게 이들 유형을 근거로 이야기를 쓴다면 어느 유형을 선호하는지 설문하였고, 74명의 전문가들에게 과제 난이도와 권장여부를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이 활용되었다. 학생들이 월등히 선호한 유형은 Connect 유형이었으며, Predict 유형과 Series 유형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경향은 성별, 학년별(초등3∼중2) 및 영어성취 수준별(저, 고, 영재)로 보아도 마찬가지였다. 학생들이 Connect 과제를 가장 선호하는 이유는 이 과제가 소재의 선택과 창작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관점에서 볼 때 Connect 유형은 창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장 어려운 과제로 꼽혔다. 또한 전체 줄거리가 제시된 Series형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가장 덜 선호한 유형이었으나, 전문가들은 학생들이 이 유형을 쓸 경우 학생들의 인지적 부담이 줄고 채점 기준이 명확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쓰기 연습과 평가 과제로 가장 권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ed three types of story-writing tasks using pictures to 137 students. The three tasks are entitled as 'Series', 'Predict' and 'Connect.' The students were asked which type they would prefer if they were asked to write a story. Experts (N = 74) were asked about which task would be most difficult and easiest and which they would recomme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cross-tabulation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Connect, followed by the Predict and Series types. There was no gender preference for Connect, nor was there any change as a function of grade level (3rd to 8th) or English proficiency (low, high, and gifted-talented). Experts regarded Connect as the most difficult because it required creativity to connect isolated items in a meaningful way while students preferred this type because it allowed the freedom to choose from given items and connect them as they liked. As far as the best task for composition practice as well as evaluation is concerned, experts recommended Series because it provided a full storyline, which served to reduce the students' cognitive load in having to create story content, and because it provided a baseline for scoring and comparing writing across all stude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토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과매개모형을 활용한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분석
- 중국 유학생용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관생도들의 인지적 정서조절이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이야기 쓰기용 세 그림기반 과제 유형
- 개별 학생 학업성취 변화 측정 방안 탐색
- 강한 베이지안 사전분포를 사용한 가교문항-고정 IRT 추정 방법의 원리와 기능
- 2011~2013학년도 수능 영어 성적과 학생 및 학교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연구
- 학업 우수 학생들과 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
-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공동체의식, 학교행복에 관한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을 활용한 응답편파모형 탐색
- The Impact of Sample Sizes on Multiple Membership Multilevel Modeling Estimation
- 학교장의 학교운영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