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신혜숙(Shin Hye 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1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와 공동체의식, 학교행복에 따라 초등학생들을 다수의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한국교육종단조사 2013」의 1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층다항로짓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적ㆍ비인지척 성취가 모두 높은 '인지 및 정서 고성취집단', 학업성취도만 높은 '인지주도적 적응집단', 공동체의식과 학교행복이 높은 '정서주도적 적응집단', 모두 낮은 '인지 및 정서 저성취집단' 등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인지주도적 적응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각 집단간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다층다항로짓분석 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학생성별과 부모교육수준,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 스트레스, 학교폭력경험, 학교예체능 참여 여부가, 학교수준에서는 기초수급자비율이나 교사성취압력, 교사의 교직만족도 등이 학생들의 잠재집단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학교 예체능 교육을 강화하고 교사의 열의와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체제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elementary students into four latent classes based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happiness to explore student- and school-level covariates associated with the latent classe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level multinomial logistic model is applied to the 1st wave data from KEDI's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revealed that four latent classes are defined as high-high (high achievers), high-low (cognitive adaptation), low-high (affective adaptation) and low-low (low achievers) levels of cognitive and affective (sense of community, school happiness) traits. Among the four latent classes, 'cognitive adaptation' group was most common.
Through multilevel multinomial analysis, main determinants of latent classes are identified both at student and school level, including student gender,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nurturing style, peer relation, school violence exposure, teacher achievement pressure and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were provided to boost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develop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과매개모형을 활용한 영어 사교육 참여의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분석
- 중국 유학생용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관생도들의 인지적 정서조절이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이야기 쓰기용 세 그림기반 과제 유형
- 개별 학생 학업성취 변화 측정 방안 탐색
- 강한 베이지안 사전분포를 사용한 가교문항-고정 IRT 추정 방법의 원리와 기능
- 2011~2013학년도 수능 영어 성적과 학생 및 학교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연구
- 학업 우수 학생들과 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
-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공동체의식, 학교행복에 관한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을 활용한 응답편파모형 탐색
- The Impact of Sample Sizes on Multiple Membership Multilevel Modeling Estimation
- 학교장의 학교운영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