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asic Study on Prediction Module Development of Collision Risk based on Ship's Operator's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박영수 박상원 조익순 Young-Soo Park Sang-Won Park Ik-Soo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39권 제3호, 199~20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항구 주변에는 입․출항하는 선박으로 인하여 해상교통흐름이 복잡하다. 이러한 선박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 해 우리나라에서는 해상교통관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24시간 쉴 틈이 없는 해상교통 관제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제구역 내에서의 충돌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위험 상황이 약 20분에 1회씩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그 위험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선박운항 및 해상교통관제 정보 제공 시 충돌 위험에 대한 안전 기준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에 본 연구는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선박운항자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이용하여 그 위험을 선박의 속도, 침로 등을 조정하여 각 교통 상황별 충돌 위험도를 사전에 예측 할 수 있는 위험도 예측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을 이용하여 선박운항자 및 관제사는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 위험요소를 쉽게 식별 할 수 있어, 가까운 장래의 위험 정도의 변화를 선박침로 및 속력변경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등의 적절한 피항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모듈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항 해역을 대상으로 조우 상황별 위험도를 예측 후 구체적인 침로 및 속력 변경에 따른 위험도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In ports of Korea, the marine traffic flow is congested due to a large number of vessels coming in and going ou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se vessels, South Korea is operating with a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which is monitoring its waters for 24 hour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of the VTS (Vessel Traffic Service) officers, collisions are occurring continuously, the risk situation is analyzed that occurs once in about 20 minutes, the risk may be greater. It investigated to reduce these accidents by providing a safety standard for collision danger in a timely manner. Thus, this study has developed a risk prediction module to predict risk in advance. This module can avoid collision risk to adjust the speed and course of ship using a risk evaluation model based on ship operator's risk perspective. Using this module, the ship operators and VTS officers can easily be identified risks in complex traffic situations, so they can take an appropriate action against danger in near future including course and speed chang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ule, this paper predicted the risk of each encounter situation and confirmed to be capable of identifying a risk changes in specific course and speed changes at Busan coastal water.
목차
1. 서 론
2. 기존 충돌 위험도 판별법
3. 선박운항자 의식 기반 충돌 위험도 예측 모듈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해 개방형 정박지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생산 라이저의 손상 탐지에 대한 연구
- Dynamic Positioning 선박들의 사고사례 분석
- 항해안전 및 업무효율을 위한 ECDIS 사용자측면에서의 개선사항 연구
- e-Navigation 전략 이행 계획 대응을 위한 Shore 기반 해상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현
-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운전자본관리와 수익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선원유관단체의 선원 보건의료실태 인식도 조사
- 표면 개질 활성탄에 의한 중금속(As 3+ , Cr 6+ ) 흡착 및 안정화 특성
- 항만물류산업이 항만도시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천체의 궤도 운동 주기 분석을 통한 명량대첩 당시의 명량수도 조류 상태에 관한 연구
-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여객항로 분석 연구
- 구속모형시험을 이용한 잠수함의 동유체력 계수 추정 및 동안정성 평가
- 선박운항자 의식 기반 충돌 위험도 예측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 경쟁력분석에 따른 국내 북극항로 전진기지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항만공사용 수중건설로봇의 기구설계 및 제어에 관한 연구
- 항만세관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향상방안 연구
- 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IMO Class 변경 요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