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당뇨 환자에서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한 중심각막두께 및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이용수 9
- 영문명
- Changes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neal Endothelial Morphology in Contact Lens-Wearing Diabetic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강준원 신기철,Joon Won Kang, MD, Ki Cheul Shin,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5,number10, 1426~143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neal endothelium in contact lens-wearing diabetic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13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August 2006 to August 2007. Ultrasound pachymetry and noncontact specular microscopy were performed on the right eyes of 26 diabetic patients who regularly wore soft contact lenses (group 1), 27 diabetic patients who did not wear soft contact lenses (group 2), 30 soft contact lens-wearers without diabetes mellitus (DM) (group 3), and 30 normal subjects who did not wear soft contact lenses (group 4). Central corneal thickness,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endothelial cell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percentage of hexagonal endothelial cell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verage duration of diabetes in groups 1 and 2 was 4.38 and 4.41 years, respectively, and average duration of soft contact lens wear in groups 1 and 3 was 5.27 and 3.65 years, respectively. The central cornea was significantly thicker and the endothelial cell dens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than in groups 3 and 4. The cell siz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higher in group 1 than in groups 2 and 4 and higher in group 3 than in group 4. The percentage of hexagonal cell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3 than in group 4. Conclusions: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are more affected by DM than contact lens use, and corneal endothelial cell morphology is influenced more by contact lens use than DM. Contact lens use in diabetic pati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all characteristics of the corneal endothelium compared with those in normal subjects. Patients with DM should be advised not to wear contact lenses.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0):1426-1431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낭충 안검염 치료 후 호전된 각막혼탁 1예
- 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사 후 망막미세혈관류의 변화
- 결막 임파종으로 의심된 환자에서 확진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결막종물 1예
- 당뇨 환자와 정상인의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한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차이
- 그람양성세균각막염에 대한 임상적, 미생물학적 분석: 15년 연구
- 안구아탈구를 유발한 거대 소아 털모양별아교세포종 1예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에서 난시변화와 임상결과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황반허혈과 최종시력과의 연관성
- 실명한 녹내장안에서 통증 조절을 위해 시행한 녹내장 수술의 경과
- 미용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환자의 임상양상 및 치료 순응도 실태
- 혈액학적 이상과 동반된 급성 구후시신경염
- 안와에 국한된 사르코이드증 1예
-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
- 심바스타틴이 인체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카탈라아제 발현에 미치는 영향
- 하측 및 상측 투명각막절개창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후 난시 변화 비교
- 망막박리 수술 후에 생긴 황반원공의 발생 위험인자와 치료결과
- 전신마취 중 편위안과 우세안 및 우세손의 관계
- 분주 베바시주맙의 무균성과 안정성
-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2.2 mm 동축 소절개와 2.75 mm 절개 백내장 수술 후 중심황반두께 및 부피의 변화 비교
- 뇌혈관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한국인의 연령대별 정상 눈물샘 용적의 측정
- 장액망막박리가 동반된 레버 특발성 성상 신경망막염에서 안내 베바시주맙 주사 효과 1예
- 유병기간이 짧은 눈물길 협착 환자에서 점안 스테로이드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당뇨 환자에서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한 중심각막두께 및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황반형태 연구
- 싸이클로펜톨레이트를 사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 후 발생하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