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눈부심측정기를 이용한 눈부심의 정량적 측정
이용수 9
- 영문명
-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lare Disability Using a Glaremet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송유경 최철명 김성수 이형근,Yoo Kyung Song, MD, Chul Myung Choe, MD, Sung Soo Kim, MD, Hyung Keun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7, 953~95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glare disability measured by a glaremeter. Methods: Glaremeter values were measured in 270 normal eyes and 100 pseudophakic eyes. The normal eyes were classified into 3 age groups (teenage to 60’s) with 90 eyes in each group. The pseudophakic eyes were classified into the monofocal IOL (intraocular lens) and multifocal IOL implanted groups with 50 eyes in each group. Glaremeter values of each group were measured using a glaremeter under photopic (82.2 ± 5.1 cd/m2) and mesopic (5.5 ± 0.3 cd/m2) conditions. Results: The highest mean glaremeter value in the normal eyes was 8657.34 ± 691.04 mm2 under the photopic condition and 8837.97 ± 805.83 mm2 under the mesopic condition in the oldest group. The glaremeter value of the multifocal IOL implanted group was 9390.87 ± 846.7 mm2 under the photopic condition and 9799.87 ± 823.72 mm2 under the mesopic condi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eye and the monofocal IOL implanted groups (p < 0.05). Conclusions: In the normal population, the mean glaremeter valu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ge, and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multifocal IOL implanted group. The present study results provide good basic data for cataract and presbyopia refractive surgery predicted to produce glare disability inevitabl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7):953-95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추각막환자에서 전층각막이식 수술 후 Trephine 차이에 따른 각막곡률 및 굴절값 변화
- 국소마취연고에 의한 각결막 화상손상 1예
- 리바운드 안압계, 비접촉 안압계, 골드만 압평안압계의 비교 및 중심각막두께와의 상관성
- 중심각막두께와 녹내장성 손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상사시에서 수직근 후전술 후 사시각의 변화에 대한 고찰
- 정상안압녹내장의 빠른 시야손상진행 위험요인
- 갑상샘눈병증으로 인한 위눈꺼풀뒤당김에서 눈꺼풀절개술의 임상 효과
- 오구치병에서 관찰된 특징적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1예
- 눈부심측정기를 이용한 눈부심의 정량적 측정
-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자에서 내시경적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효과
- 감염성 안질환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10년간의 고찰
- 아메드방수유출장치 삽입술 후 발생한 조직 감입
- 수술 후 망막박리 발생을 막기 위한 예방적 360도 안내레이저술의 효과
- 한국인 특발성 시신경주위염의 임상양상
- 톡소플라스마 망맥락막염에서 유리체강내 클린다마이신 주입술
- 전신홍반루푸스 환자에서 발생한 전안부 임상양상 2예
- 삼차원(3D) 영상 시청이 눈 피로에 미치는 영향
- 고도근시안에서 황반원공에 의해 발생한 망막박리에 대한 황반돌륭술
- 눈물점 근처 종양의 임상양상과 치료
- 눈꺼풀에 발생한 유두상 땀샘낭샘종 1예
- 눈꺼풀에 발생한 피지낭종 1예
- 갑상샘눈병증에 동반된 눈중증근무력증 1예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다른 눈의 중심와아래 맥락막 두께
- 상방주시 때 측정한 안구돌출계측치의 유용성
- 1.8 mm와 2.2 mm 동축 소절개와 2.75 mm 절개 백내장 수술의 1년 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