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염성 안질환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10년간의 고찰
이용수 7
- 영문명
- Cultured Organism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Infectious Ocular Disease: Results Over a Ten-Year Period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현태 이동욱 안민 조남천 유인천,Hyun Tae Choi, MD, Dong-Wook Lee, MD, Min Ahn, MD, Nam Chun Cho, MD, In Cheon You,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7, 934~94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7.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ocular regional incidence, causative speci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patients with infectious ocular disease whose causative organism was isolated. Methods: A total of 519 eyes in 519 patients with infectious ocular disease, who were diagnosed by smears and culture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519 patients was 54.0 years, and 66.1% of the patients were male. The most common systemic disease was diabetes mellitus. The most common previous ocular disease was keratoconjunctivitis. Specimens were most frequently swabbed from the cornea, where 81.2% were bacteria isolates and 18.8% fungi isolates. The most prevalent causative organism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the most prevalent fungus was Fusarium species. Vancomycin, ceftazidime, and fourth-generation fluoroquinolone maintained high antibiotic susceptibilit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were increasing near the end of the reference period, and endophthalmitis was more common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Conclusions: Identifying the causative organism in infectious ocular disease by smears and cultures is essential. More effective treatment of infectious ocular disease would be possible by analyzing the frequent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More caution is necessary due to the increase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7):934-94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추각막환자에서 전층각막이식 수술 후 Trephine 차이에 따른 각막곡률 및 굴절값 변화
- 국소마취연고에 의한 각결막 화상손상 1예
- 리바운드 안압계, 비접촉 안압계, 골드만 압평안압계의 비교 및 중심각막두께와의 상관성
- 중심각막두께와 녹내장성 손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상사시에서 수직근 후전술 후 사시각의 변화에 대한 고찰
- 정상안압녹내장의 빠른 시야손상진행 위험요인
- 갑상샘눈병증으로 인한 위눈꺼풀뒤당김에서 눈꺼풀절개술의 임상 효과
- 오구치병에서 관찰된 특징적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1예
- 눈부심측정기를 이용한 눈부심의 정량적 측정
-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자에서 내시경적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효과
- 감염성 안질환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10년간의 고찰
- 아메드방수유출장치 삽입술 후 발생한 조직 감입
- 수술 후 망막박리 발생을 막기 위한 예방적 360도 안내레이저술의 효과
- 한국인 특발성 시신경주위염의 임상양상
- 톡소플라스마 망맥락막염에서 유리체강내 클린다마이신 주입술
- 전신홍반루푸스 환자에서 발생한 전안부 임상양상 2예
- 삼차원(3D) 영상 시청이 눈 피로에 미치는 영향
- 고도근시안에서 황반원공에 의해 발생한 망막박리에 대한 황반돌륭술
- 눈물점 근처 종양의 임상양상과 치료
- 눈꺼풀에 발생한 유두상 땀샘낭샘종 1예
- 눈꺼풀에 발생한 피지낭종 1예
- 갑상샘눈병증에 동반된 눈중증근무력증 1예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다른 눈의 중심와아래 맥락막 두께
- 상방주시 때 측정한 안구돌출계측치의 유용성
- 1.8 mm와 2.2 mm 동축 소절개와 2.75 mm 절개 백내장 수술의 1년 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