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컴퓨터 게임 전후 각막 및 안구의 고위수차 변화
이용수 23
- 영문명
- The Changes of Corneal and Ocular High-Orde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서 황영훈 송종석,Min Seo Kim, Young Hoon Hwang, MD, Jong Suk So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11, 1597~160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changes in corneal and ocular high-order aberration, ocular fatigue, and tear break-up time (TBUT) before an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Methods: Thirty-nine normal healthy subjects played computer games for 1 hour. Ocular fatigue was evaluated with a questionnaire, TBUT was measured with slit-lamp biomicroscopy, and high-order aberrations were measured with a KR-1W aberrometer (Topcon Medical System, Inc., Tokyo, Japan) in each subject before an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The right ey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Subjective ocular fatigue (expressed as the interview score) increased from 4.23 ± 5.35 to 12.05 ± 8.68 after playing games (p < 0.001) and TBUT decreased from 8.03 ± 6.43 sec to 4.90 ± 3.31 sec (p < 0.001). Ocular high-order aberrations in the 4 mm and 6 mm zon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playing games (p = 0.150, p = 0.202, respectively). However, corneal high-order aberrations in the 4 mm and 6 mm zo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p = 0.002, p = 0.002, respectively). Changes in TBUT, interview score, and corneal high-order aberration we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Conclusions: Playing computer games increased corneal high-order aberrations as well as subjective ocular fatigue and TBU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컴퓨터 게임 전후 각막 및 안구의 고위수차 변화
-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안허혈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신생혈관 녹내장 1예
-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후 난시교정 평가를 위한 KR-1W 수차계의 유용성
- 전립선암 환자에서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후 발생한 양안 칸디다 안내염
- 두 가지 장비를 이용한 각막 지형도 검사의 비교
- 나비모양 망막이상증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1예
- 양안 위수정체안에 적용한 단안시의 시각 기능과 환자 만족도 평가
- 각막열상의 통계적 고찰과 시력 예후 인자
- 위눈꺼풀에 발생한 원발성 기타 상세불명의 말초 T세포 림프종 1예
- 외사시 수술 3년 후 결과 분석
- 한국인에서의 눈물소관과 눈물주머니의 연결 형태
- 노안교정 고주파 각막성형술을 이용한 단안시 치료의 임상 결과
- 무봉합 후방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의 단기 임상결과 다섯 예 분석
- 비구면 일체형 인공수정체 삽입 후 동공 크기가 시력에 미치는 영향
- 냉동치료와 유리체내 가스주입술을 병행한 만성 외상성 섬모체해리의 치료 1예
- 간헐외사시에서 근시 진행과 수술 후 외편위 재발과의 상관관계
- 각막 지형도를 이용한 각막 구면수차의 산출
- 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급성 폐쇄각녹내장 발생의 계절적 특성
- 수정체비늘증후군 환자에서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 상부 180도 및 하부 180도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효과 및 안정성 비교
- 원추각막 환자에서의 알코올을 이용한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 후 각막곡률의 변화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창상회복이 완료된 환자에서 실리콘관이 눈물배출에 미치는 영향
- 혈액투석이 안압,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및 각막두께에 미치는 영향
- 안와거짓종양으로 오인된 상안검에 발생한 근육속혈관종 1예
- 다양한 원인에 의한 황반하 출혈에서 유리체강내 가스 주입술 여부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 후천 코눈물관 막힘에서 두 가닥 실리콘관 삽입술의 장기효과
-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결막이완증 수술의 효과
- 수술 전 부분 가림 치료로 형태가 변화한 간헐외사시 환자의 수술 결과
- 뚜렛 증후군을 가진 15세 소아에서 발생한 양측성 망막박리
- 공막괴사를 야기한 섬모체 결핵종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Quetiapine competitively inhibits 5-HT₃ receptor-mediated currents in NCB20 neuroblastoma cells
- Haloperidol, a typical antipsychotic, inhibits 5-HT₃ receptor-mediated currents in NCB-20 cells: a whole-cell patch-clamp study
- Hyaluronan-mediated motility receptor-mediated aerobic glycolysis enhances stem-like properties and chemoresistance in lung adenocarcinom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