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 후 Pentacam을 이용한 각막 및 앞방의 변화
이용수 2
- 영문명
- The Changes in the Cornea and Anterior Chamber after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in Intermittent Ex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보윤 박신혜 신선영,Boyun Kim, MD, Shin Hae Park, MD, Sun Young Shi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1, 127~1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corneal keratometry and the anterior chamber in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lateral rectus recession using Pentacam. Methods: Corneal keratometry, anterior chamber depth, and anterior chamber volume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1 week,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using Pentacam in 20 patients (40 eyes) who underwent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The IOP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lateral rectus muscle detachment during the surgery. According to the change in IOP,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1 (△IOP < 3 mm Hg) and Group 2 (△IOP ≥ 3 mm Hg), and the results of the 2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horizontal keratometry and anterior chamber volumes significantly decreased 1 week postopera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rtical keratometry, mean keratometry, or anterior chamber depth. Additio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ny measurement parameters at 1 month or 2 months postoperatively. In Group 2, horizontal keratometry, mean keratometry, and anterior chamber volume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compared with those in Group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at 1 month postoperatively. Conclusions: Postoperative corneal keratometry and anterior chamber volum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s in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performing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However, the higher the ocular muscle tension, the greater were the changes in corneal astigmatism and anterior volum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127-132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차성 기흉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르너 증후군 1예
- 맥락막신생혈관을 동반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광역학치료 후 10년간의 경과관찰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에서 각막기하중심-보정 연마중심의 정확도에 난시교정량이 미치는 영향
- 노안이 동반된 근시 환자에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을 이용한 노안 교정수술의 임상결과
- 선택적 경부 절제술 후 발생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1예
- 섬유주절제술과 심부 공막 절제술 이후 발생하는 수술로 인한 각막 난시의 변화 비교
- 망막분지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의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후 시력호전의 예후인자
- 정상인과 녹내장 환자에서 수술 전 안구 계측치와 백내장 수술 후 안압 하강과의 관계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의 이환된 눈과 무증상 반대편 눈, 정상 대조군과의 맥락막두께 비교
- 양안의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뒤공막염 2예
-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 후 Pentacam을 이용한 각막 및 앞방의 변화
- 내사시에서 양안 내직근후전술 시 기능적적도부 및 팍스의 수술양을 고려한 군 간 수술성적비교
- 녹내장환자에서 중심각막내피세포 검사의 중요성
- 두 종류의 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 결과의 비교
-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입 후 발생한 안압 상승에서 트리암시놀론의 수술적 제거
- Zone 1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레이저 광응고술과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 안구표면질환에서 실리콘 링을 이용한 일시적 양막반의 치료 효과
- 수입공여각막의 내피세포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
- 스펙트럼영역과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비교
- 미토콘드리아 DNA T14484C 점돌연변이를 가진 한국인 레버유전시신경병증의 시기능 예후
- 백내장 수술 후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인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안내염 2예
- 소아 안외상의 임상 양상의 변화
-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사시조절정도와 입체시의 상관성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주사 합병증에 대한 다각적 고찰: 발생률 및 위험요소
- 백내장수술 중 낙하된 유리체내 수정체로 의뢰된 잔류수정체 제거술의 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