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Choroidal Thickness in Eyes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symptomatic Fellow Eyes and Normal Ey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조준희 배소현 한재룡 남우호 김하경,Joon Hee Cho, MD, So Hyun Bae, MD, Jae Ryong Han, MD, Woo Ho Nam, MD, Ha Kyoung Ki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1, 87~9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choroidal thickness in central serous chorioretiopathy (CS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Methods: The authors compared the choroidal thickness in eyes with CSC, fellow eyes and in normal eyes. In addition, the authors attempted to determine any correlation between choroidal thickness and other factors such as age, height of serous retinal detachment, and spherical equivalent. Choroidal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a perpendicular line from the outer margin of the subfoveal retinal pigment epitheliu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lera. Results: Twenty-five eyes of 25 CSC patients, 17 fellow eyes and 29 age-matched normal eyes were examined and categorized as group 1, group 2 and group 3, respectively.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was 370.64 ± 58.06 μm in group 1, 301.85 ± 47.83 μm in group 2, and 261.84 ± 48.22 μm in group 3. The choroidal thickness in group 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group 2 and group 3, and the choroidal thickness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group 3 (p = 0.001, p < 0.001, p = 0.004, respectively), where the choroidal thickn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p = 0.015). Conclusions: The choroidal thickness was greater in eyes with CSC and in their fellow eyes compared to that in normal eyes. The results suggest that CSC may be caused by choroidal vascular hyperpermeability and increased hydrostatic pressure in the choroid.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87-93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차성 기흉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르너 증후군 1예
-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입 후 발생한 안압 상승에서 트리암시놀론의 수술적 제거
- 백내장수술 중 낙하된 유리체내 수정체로 의뢰된 잔류수정체 제거술의 결과
- 선택적 경부 절제술 후 발생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1예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의 이환된 눈과 무증상 반대편 눈, 정상 대조군과의 맥락막두께 비교
-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사시조절정도와 입체시의 상관성
- 간헐외사시의 외직근 후전술 후 Pentacam을 이용한 각막 및 앞방의 변화
- 백내장 수술 후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인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안내염 2예
- 소아 안외상의 임상 양상의 변화
- 망막분지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의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후 시력호전의 예후인자
- 녹내장환자에서 중심각막내피세포 검사의 중요성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주사 합병증에 대한 다각적 고찰: 발생률 및 위험요소
- 노안이 동반된 근시 환자에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을 이용한 노안 교정수술의 임상결과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에서 각막기하중심-보정 연마중심의 정확도에 난시교정량이 미치는 영향
- 섬유주절제술과 심부 공막 절제술 이후 발생하는 수술로 인한 각막 난시의 변화 비교
- 스펙트럼영역과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비교
- Zone 1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레이저 광응고술과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 양안의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뒤공막염 2예
- 내사시에서 양안 내직근후전술 시 기능적적도부 및 팍스의 수술양을 고려한 군 간 수술성적비교
- 미토콘드리아 DNA T14484C 점돌연변이를 가진 한국인 레버유전시신경병증의 시기능 예후
- 두 종류의 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 결과의 비교
- 안구표면질환에서 실리콘 링을 이용한 일시적 양막반의 치료 효과
- 맥락막신생혈관을 동반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광역학치료 후 10년간의 경과관찰
- 정상인과 녹내장 환자에서 수술 전 안구 계측치와 백내장 수술 후 안압 하강과의 관계
- 수입공여각막의 내피세포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Research on Digital Construction and Sharing Mechanism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ources under the Empowerment of Digital Intellig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