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ase of Inferior Oblique Muscle Overaction after Orbital Trau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성복 곽주영 이연희,Sung Bok Lee, MD, PhD, Joo Young Kwag, MD, Yeon Hee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2,number5, 639~64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nferior oblique muscle overaction after orbital trauma. Case summary: A 19-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blowout fracture of the right inferior orbital wall.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facial asymmetry, head tilt, strabismus or diplopia. The day after the reduction operation, the patient complained of diplopia on the down-gaze. The patient had orhthophoria in the primary position. However, the right eye showed a limitation on infraduction. Six weeks later, the limitation of infraduction resolved, however the diplopia worsened. The right eye showed excessive elevation in adduction and hypertropia in the primary position. The hypertropia increased on left gaze, and decreased on right gaze. Bielschowsky’s head test revealed a negative result. The fundus photographs showed a mild excyclotorsion of the right eye. Five months later, the symptoms and signs were stable and surgery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exaggerated forced duction test and traction with strabismus hook on the right inferior oblique muscle revealed tightness. The inferior oblique muscle was found to be recessed. After the operation, the diplopia, hypertropia and the excessive elevation on adduction of the right eye resolved. Conclusions: A contracture and resultant overaction of inferior oblique muscle could develop after trauma on the inferior orbital wall. Trauma on the inferior orbital wall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acquire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5):639-643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와 외상 후 발생한 하사근 기능항진 환자 1예
- 혈청결핍 상태에서 크레아틴이 RGC-5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트리암시놀론 및 혼합약제 주입 후 장기간 안압변동 관찰
- 누구접근법으로 안와내벽골절정복술 후 발생한 신경성눈꺼풀처짐
- 각막 기질창상에서 양막이 각막상피두께와 반결합체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브리모니딘 분무와 관류에 따른 눈물배출계의 형태학적 변화
- 위눈꺼풀이완증 환자에서 피부와 결막의 조직학적 소견
-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 각막내피세포밀도의 변화
- 백색토끼에서 수술 현미경에 노출 후 망막의 변화
- 양안 결막 아밀로이드증 진단과 결막종괴절제 및 냉동치료술 1예
- 녹내장에서 망막신경섬유층구역에 상응하는 시야지역 지도
-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학습곡선
- 레이저홍채절개술 단독 치료와 아르곤레이저주변홍채성형술 병용 치료 후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 결과 비교
- 원발성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단독유리체절제술과 수정체유화술 및 유리체절제술병합술의 결과 비교
- 당뇨망막병증 검진에 있어 무산동 디지털 안저사진기의 효용성
- 유리체강 내 실리콘기름의 대뇌로의 이동으로 인한 반대편안의 이측 시야결손
- 각막절편 두께 측정법의 비교: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의 차감법, 직접측정법과 빛간섭단층촬영계
- 각막상피제거술 후 흰쥐의 각막과 눈물샘에서의 신경성장인자의 변화
- 굴절부등약시에서 약시치료 전 안경착용의 효과
- 튜브 결찰 및 스텐트 방식에 따른 방수유출장치 내 유동저항의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과제 지향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