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반질환에 따른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다양한 오류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Various Artifacts Produced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ased on Macular Pathologi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용운 이주향 전재연 송유미 조희윤 이병로,Yong Woon Shin, MD, Ju Hyang Lee, MD, Jae Yeon Jun, MD, Yumi Song, MD, Hee Yoon Cho, MD, Byung Ro Lee,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8, 1084~109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the frequency, severity and various types of artifacts associated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based on macular pathologi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116 eyes of 116 subjects. SD-OCT (3D-1000, Topcon Corp., Japan) imaging was performed in 40 healthy eyes, 45 eyes with intraretinal pathology (IRP) and 31 eyes with subretinal pathology (SRP). The scan protocol was 12×6 mm radial scan. The frequency and types of artifacts were investigated in each scan and were analyzed based on macular disease. Additionally, the effect of artifacts on the measurement of macular thickness was studied. Results: Errors occurred in 77 eyes (66.38%). Inner retinal boundary misidentification (IRBM) was the most common error (25.86%), with the frequencies of other types of artifacts being 10.34% for off-center fixation, 15.52% for degraded image and 8.6% for outer retinal boundary misidentification (ORBM). The overall error rate of SD-OCT in the retinal pathology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Macular thickness was underestimated in the IRP group because the outer retinal boundary of the IRP group tended to be misidentified toward the inner retina (p<0.01). Conclusions: SD-OCT can frequently cause various types of artifacts in patients with macular disease. When interpreting OCT images, the artifacts of SD-OC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obtain accurate macular thickness and to prevent erroneous clinical decis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8):1084-1091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한국인 정상안의 황반부 용적
- MEL60을 이용한 라섹과 관련된 술 전 예후인자
- 중증 건성안에서 헤파린과 인지질을 사용한 복합치료의 임상적 효과
- 기능적 시력장애로 의심되었던 환아들에서 시행한 아동행동평가척도와 인성검사
- 황반질환에 따른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다양한 오류 분석
- 원발성개방각녹내장 환자의 백내장수술 중 나타난 악성녹내장 유사 현상 1예
- 무방부제 인공누액이 인체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양안의 각막절개창 파열과 홍채탈출 1예
- 눈 주위 자가지방이식술 후 발생한 앞허혈시신경병증
-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활용
- 유방암 전이에 의한 압박 시신경병증 1예
-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각막이식술과 일반적인 전층각막이식술의 임상결과 비교
- 단안의 후극부 망막 이상이 있는 환아의 양안 안저 소견
- 가쪽눈구석에 발생한 저등급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 안와에 발생한 점액종 1예
- 속눈썹에 의해 발생한 눈물샘 결석
- 눈부속기를 침범한 Hyper-IgG4 증후군 3예
- 아드레날린성 작용약물 관류 후의 코눈물관 내경의 변화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과 베바시주맙주입술의 비교
- 가토에서 상직근 Z-근연절단술 후 근육 약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