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드레날린성 작용약물 관류 후의 코눈물관 내경의 변화
이용수 8
- 영문명
- Effects in Lumen Width of Nasolacrimal Drainage System After Adrenergic Drug Irrig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영민 오동은,Young Min Kim, MD, Dong-Eun Oh,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8, 1039~10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lacrimal sac and nasolacrimal duct are surrounded by a wide cavernous system of veins and arteries, and the blood vessels of the cavernous body are innnervat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adrenergic agonist on the lumen width of the nasolacrimal drainage system. Methods: Dacryocystography was performed on 35 patients with only epiphora and not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The anteroposterior (AP) diameters and the oblque diameters of the nasolacrimal ducts were measured. Next, 18 patients were infused with 0.5 ml Alphagan-PⓇ (α-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17 patients were infused with 0.5 ml DL methylephedrine hydrochloride (α-1 and α-2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dacryocystography was performed again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lumen width of the nasolacrimal drainage system. Results: The α-adrenergic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umen width of the nasolacrimal drainage system, and the changes were more pronounced in the nasolacrimal duct than in the lacrimal sac. Although the nasolacrimal duct widening was more notable in the Alphagan-PⓇ infusion group than the DL methylephedrine hydrochloride infus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improved in both groups. Conclusions: The α-adrenergics constrict the blood vessels of the cavernous body, leading to the increase in the lumen width of the nasolacrimal drainage system. This effec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Alphagan-PⓇ infusion group. In conclusion, infusion of α-adrenergic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surgical manage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8):1039-1046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한국인 정상안의 황반부 용적
- MEL60을 이용한 라섹과 관련된 술 전 예후인자
- 중증 건성안에서 헤파린과 인지질을 사용한 복합치료의 임상적 효과
- 기능적 시력장애로 의심되었던 환아들에서 시행한 아동행동평가척도와 인성검사
- 황반질환에 따른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다양한 오류 분석
- 원발성개방각녹내장 환자의 백내장수술 중 나타난 악성녹내장 유사 현상 1예
- 무방부제 인공누액이 인체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양안의 각막절개창 파열과 홍채탈출 1예
- 눈 주위 자가지방이식술 후 발생한 앞허혈시신경병증
- 에탐부톨에 의한 시신경병증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활용
- 유방암 전이에 의한 압박 시신경병증 1예
-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각막이식술과 일반적인 전층각막이식술의 임상결과 비교
- 단안의 후극부 망막 이상이 있는 환아의 양안 안저 소견
- 가쪽눈구석에 발생한 저등급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 안와에 발생한 점액종 1예
- 속눈썹에 의해 발생한 눈물샘 결석
- 눈부속기를 침범한 Hyper-IgG4 증후군 3예
- 아드레날린성 작용약물 관류 후의 코눈물관 내경의 변화
- 망막분지정맥폐쇄에 합병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과 베바시주맙주입술의 비교
- 가토에서 상직근 Z-근연절단술 후 근육 약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