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Miller Fischer Syndrome With Optic Nerve Involve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인기 문상웅 한지상 신재호,In Ki Park, MD, Sang Woong Moon, MD, PhD, Ji Sang Han, MD, Jae Ho Shi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2, 1676~168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n extremely rare case of optic nerve involvement in Miller-Fisher syndrome. Case Summary: A 74-year-old woman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Such symptoms started 1 month prior to her visit, after sudden onset of left-side motor power weakness and dysphasia. Following the initial symptoms, our patient consecutively experienced worsening dysphagia, ptosis, and lateral gaze limitation. We confirmed the diagnosis as Miller Fischer syndrome with a positive anti-GQ1b antibody serology. She received immunoglobulin treatment for 5 days in other departement. She visited our clinic due to continuing diplopia,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gait disturbance. On initial examination,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5 in both eyes. Ptosis of both eyelids, esodeviation, limitation in ocular movement was noted. The fundoscopic examinations revealed relatively pale optic disc. There was decrease in color vision in both eyes. The visual evoked potential test showed low amplitude and delayed latency in P100 wave in both eyes. Two months after her initial visit to our department her symptoms started to improve, and after 4 months all the initial problems resolved completely and her corrected visual acuity checked out to be 0.8 in both eyes and VEP abnormality was recovered. Conclusions: It is extremely uncommon for Miller Fisher syndrome to involve the optic nerve. We present such a case of a 74-year-old woman whose symptoms improved 4 months after its first attack with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2):1676-168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입원 치료를 시행한 고령 감염각막염 환자의 원인균, 임상 양상 및 위험 인자
- 펨토초라식과 에피라식의 단기 임상결과 비교
- 망막에서 기인한 기형성 수질상피종 1예
- 당뇨망막병증에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과 기존 범망막광응고술과의 치료 효과 비교
- 겔형태 인공누액이 각막실질세포 및 결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스쿠버 잠수활동과 안압, 시신경 및 시야의 변화
-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동반된 양안 재발성 후공막염 1예
-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눈가림 및 +3.00디옵터 구면렌즈검사 후 사시각 변화
- 발달지연 소아환자에서 안과검진의 의의
- 시신경을 침범한 밀러피셔증후군
- 양막을 이용한 각막 간질세포의 배양과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유도
- 청소년기에서의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 삼체형과 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의 안정성 비교
- 난독증을 주소로 내원한 한국인 환자들의 임상양상: 얼렌증후군과의 연관성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시간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변화와 시야변화의 비교분석
- 한국인에서 오타모반의 임상 양상
- 아스퍼질루스균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 환자에서 뇌 기저 동맥 감염 동맥류가 동반된 증례
- 40 프리즘디옵터 이상의 외사시에서 수술 전 예측한 수술 후 사시각의 정확성
-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전방깊이에 따른 백내장수술 전후의 각막내피세포수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