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Medulloepithelioma Originating from the Retin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미진 정호경 이민정 김영아 곽상인,Mijin Kim, MD, Ho-Kyung Choung, MD,, Min Joung Lee, MD, Young A Kim, MD, Sang In Khwar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2, 1665~167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rare case of medulloepithelioma originating from the retina. Case summary: A nine-year-old boy visited our clinic with conjunctival injectio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which had developed two month previously.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a distorted pupil and an anteriorly protruding ciliary body displacing the peripheral iris toward the cornea on the inferonasal side. Funduscopic examination showed total retinal detachment accompanied by an inferior hypervascular mass. The examination of the right eye was unremarkable. On computer tomography imaging, a calcified mass was identified behind the iris of the left globe in the inferomedial aspect, and ultrasound biomicroscopy revealed a medium to high echogenic tumor with an uneven oval cystic cavity in the ciliary body. At the follow-up examination, the size of the mass was increased, so we performed enucleation of the left eye. Pathology demonstrated that the retrolental mass abutting the lens had arisen from the retina.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tumor had originated from the retina and extended into the ciliary body, and most of the tumor was composed of hyaline cartilage with calicification. Tumor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periphery, forming elongated tubules and cord-like structures that were immunohistochemically positive for vimentin, neuron-specific enolase, and CD56 compatible with a teratoid medulloepithelioma.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eight months without any metastasis in the orbit or elsewhere. Conclusions: Medulloepithelioma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ediatric orbital mass accompanied by calcific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2):1665-1670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입원 치료를 시행한 고령 감염각막염 환자의 원인균, 임상 양상 및 위험 인자
- 펨토초라식과 에피라식의 단기 임상결과 비교
- 망막에서 기인한 기형성 수질상피종 1예
- 당뇨망막병증에서 패턴 범망막광응고술과 기존 범망막광응고술과의 치료 효과 비교
- 겔형태 인공누액이 각막실질세포 및 결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스쿠버 잠수활동과 안압, 시신경 및 시야의 변화
-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동반된 양안 재발성 후공막염 1예
- 기본형 간헐외사시에서 눈가림 및 +3.00디옵터 구면렌즈검사 후 사시각 변화
- 발달지연 소아환자에서 안과검진의 의의
- 시신경을 침범한 밀러피셔증후군
- 양막을 이용한 각막 간질세포의 배양과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유도
- 청소년기에서의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 삼체형과 일체형 비구면 인공수정체의 안정성 비교
- 난독증을 주소로 내원한 한국인 환자들의 임상양상: 얼렌증후군과의 연관성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시간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변화와 시야변화의 비교분석
- 한국인에서 오타모반의 임상 양상
- 아스퍼질루스균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 환자에서 뇌 기저 동맥 감염 동맥류가 동반된 증례
- 40 프리즘디옵터 이상의 외사시에서 수술 전 예측한 수술 후 사시각의 정확성
-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전방깊이에 따른 백내장수술 전후의 각막내피세포수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