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Astigmatism after Surgery for Congenital Ptosi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동섭 김준모 우경인 장혜란,Dong Sub Lee, M.D., Joon Mo Kim, M.D., Kyung In Woo, M.D., Hae Ran Cha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7,number9, 1459~146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postoperative astigmatic changes after surgery for congenital ptosis and the astigmatic changes depending on surgical method and to discern cases of postoperatively developed anisometropia or amblyopia. Methods: Fifty-on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due to congenital ptosis were reviewed. Refraction or cycloplegic refraction was conducted preoperatively and 3 to 6 months after surgery to measure astigmatic changes. Astigmatic changes in operated eyes were compared to control eyes. Astigmatic changes were compared depending on surgical method. Results: The mean astigmatism was 1.33±1.29D preoperatively and 1.48±1.13D postoperatively (P=0.10) and the mean astigmatic change in the ptotic and control eye was an increase in cylinder +0.56±0.55D and +0.68±0.72D (P=0.37). The mean astigmatic change of patients receiving frontalis sling was +0.57±0.67D which was similar to those who received levator resection (+0.56±0.50D). Newly developed anisometropia was found in three patients postoperatively due to an increase in astigmatism, but newly developed amblyopia was not found. Conclusions: The increase of astigmatism by ptosis surger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accounting for surgical method. However, it is necessary to monitor refractive error carefully in younger patients to prevent amblyopia because postoperative increase of astigmatism can cause anisometrop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령연관황반변성에서 망막혈관종성증식과 동반된 망막색소상피 박리의 임상양상과 일차적인 광역학치료의 결과
- 한 가족에서 발생한 파브리병 환자 및 파브리병 보인자 9예
- 시신경형성저하 환자의 임상적 특징
- 세극등현미경과 전방각경을 이용한 전안부계측
- 일체형 친수성 아크릴릭 인공수정체의 임상성적
- 선천성 코눈물관막힘에서 더듬자검사 시 코눈물관 길이의 지표
- 당뇨황반부종에서 망막두께분석기로 측정한 망막두께와 다국소망막전위도의 반응의 연관성
- 수술적 절제 후의 망막혈관종성증식의 진행
-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보조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효과
- 굴절이상에 따른 조절마비검사 전 후의 시력변화 비교
- 각막궤양에서 양막이식술 후 발생한 각막혼탁 감소를 위한 각막문신
- 아래눈꺼풀 이완이 있는 기능적 눈물길폐쇄 환자에서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의 효과
- 각막천공환자에서 조직접착제 단독요법의 유용성
- 새로운 미세각막절개도의 임상평가
- 증식당뇨망막병증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과 아메드밸브 삽입술
- 거짓내사시의 경력이 있는 사시 환자의 임상 양상
- 선천눈꺼풀처짐 교정술 후 발생한 난시변화
- 직장 건강검진에서 녹내장으로 의심된 환자의 진단 결과
- 동양안충 안내침입
- 68세 여자의 눈물주머니에 생긴 원발성 횡문근육종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 1예
- 소아에서 안구 둔상 후 발생한 수정체 후낭파열 1예
- 익상편 발생기전에서 말초혈액의 내피전구세포 및 혈관신생인자의 관여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시행 후 발견된 부비동내 진균구 1예
- 선천백내장으로 수술한 형제에서 진단된 안, 뇌, 신 증후군 2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과제 지향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