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Polymerization onto a Foldable Intraocular Lens in Pathogenesis of Posterior Capsular Opaci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헌일 김미금 고정화 이현주 위원량 이진학,Hyeon Il Lee, M.D.,, Mee Kum Kim, M.D., Ph.D.,, Jung Hwa Ko,,, Hyun Ju Lee,,, Won Ryang Wee, M.D., Ph.D.,, Jin Hak Lee,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7,number4, 621~62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PEG)-grafted acryl intraocular lenses on the prevention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PCO). Methods: The acrylic surface of an intraocular lens (Acrysof SA 60AT, Alcon) was polymerized with PEG (PEG-IOL).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ell adhesion to the modified lens surface, human lens epithelial cells (1×104 cells/ml) were inoculated on each PEG-grafted and acrylic control lens, and all were cultured in a carbon dioxide incubator for 24 hours. The adhered cells were trypsinized and counted. The PEG-IOL was implanted in 20 New Zealand rabbits after removal of the crystalline lens. The formations of PCO were checked serially through retroilluminated digital photography and severity scores were calculated using POCOman. The cell adherence pattern on the PEG-grafted IOL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The mean number of adherent cells in PEG-IOL was 3.2±1.1×103, which tend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unmodified acrylic control (3.6±1.9×103),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severity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in PEG-IOL was much lower than in the control, especially at week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more patch-like cells firmly attached to the lens surface in the control. Conclusions: PEG polymerization of the acrylic IOL may lessen the formation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접힘 인공수정체 표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표면 중합이 후낭혼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세 개의 작은 절개창, 두 봉합을 이용한 비절개 이중검 성형술의 효과
- 은행잎추출물이 배양된 사람 섬유주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신생혈관녹내장 환자의 방수내 변형성장인자-β와 혈관내피성장인자 농도와 아메드밸브 수술 결과
- 트리암시놀론이 배양된 사람 섬유주세포에 미치는 영향
- 코헨증후군에서의 안과적 소견
- 근원뿔내 혈성 거짓낭종 1예
- 한국인에서 거짓비늘증후군의 임상양상
- 한국인의 건강검진시 무산동 디지털 안저 사진기를 이용한 녹내장성 시신경변화의 조기발견
- 가토 각막에서 자가 윤부이식 시 성공을 위한 최소 윤부 양에 대한 연구
- 은행잎추출물이 배양된 테논낭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미숙아와 만삭아에서의 눈물막 기능과 눈표면 상태의 비교
- 25 프리즘디옵터 미만의 외편위 환자에서 한눈 외직근후전술 후 수술량에 따른 결과분석
- 국립장기이식센터 설립 전후의 각막이식 실태
- 하사근 후전술, 전치술 및 절제술의 하사근기능항진 교정 효과 비교
-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 시 각막절편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 전 인자
- 녹내장 환자에서 레이저 시신경유두 분석기와 광간섭 단층 촬영기의 결과 비교
- 저산소에 노출된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혈관신생인자의 발현 변화
- 분열뇌증에서 발견된 안구 진탕 1예
- 각막질환에 따른 각막이식술후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 마이오실린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탐색 및 선별
-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황반부종에서 트리암시놀론 안내주입술 후 발생한 망막중심동맥폐쇄 1예
- 광간섭단층촬영으로 분류된 미만성 당뇨황반부종의 위험인자
- 한국 각막이식의 실태
- 만성원발폐쇄각녹내장과 원발개방각녹내장의 시신경유두 형태
- 하이드로젤 공막돌륭물을 이용한 공막돌륭술의 후기 합병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