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fferences in Results of Short Wavelength Automated Perimetry According to Lens Opaciti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하병진 김대홍 주영광 이은석 홍영재,Byoung-Jin Ha, M.D., Dae-Hong Kim, M.D., Young-Kwang Chu, M.D., Eun-Suk Lee, M.D., Young-Jae Ho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6,number10, 1663~166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Perimetric exa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of glaucoma, which is among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worldwide. Several examin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early detection of glaucoma. Among those, short-wavelength automated perimetry (SWAP) is the most wide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uclear opacities on SWAP were examined. Methods: Lens opacities were divided into cortical and nuclear opacity groups ; each group consisted of fifteen eyes. The eyes studied underwent standard white-on-white perimetry and SWAP exams before and after cataract operation.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opacity groups. The t test was used for comparing the data. Results: In the cortical opacity group,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eviation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as 5.46dB in white-on-white perimetry and 5.02dB in SWAP. In the nuclear opacity group,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eviation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as 4.01dB in white-on-white perimetry and 10.82dB in SWA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tical opacity group (p=0.6575).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clear opacity group (p<0.0001). Conclusions: In clinical situations, more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interpreting the SWAP results of nuclear cataract patients in order to make an accurate decis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반부종 치료를 위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의 효용성
- 성공적인 망막박리수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진단된 중심소와 박리
- 집단검진 환자에서 측정한 안구회선의 범위
- 운동장 선 표시용 석회에 의한 각막화상 1예
- 뇌하수체 선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시야변화
- 백내장 종류에 따른 단파장시야측정 결과의 차이
- 신경섬유종증을 동반한 각막 가장자리를 침범하는 결막하 소아황색육아종증 1예
- 중등도, 고도 근시에서 라섹과 에피라식의 단기간 임상성적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환자에서 최종시력과 연관된 여러 인자
- 라식 수술시 미세각막절삭기의 유용성과 안전성
- 내사시를 동반한 태아알코올증후군 1예
-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무봉합 표층각막이식 및 라식 각막판 복원 증례
- 수정체낭내팽창고리 사용의 장기 관찰
- 원시 변화에 대한 장기 고찰
- 망막두께분석기와 광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정상 한국인의 황반두께에 대한 비교분석
- 소아 눈모음부족외사시에서 근거리/원거리 사시각에 따른 단안 절제술 및 후전술
-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종료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의 유리체강내 주입의 효과
- 한 가족 두 명에서 발견된 가족성 망막세동맥 만곡증
- 눈꺼풀올림근의 기능이 불량한 선천성눈꺼풀처짐 환자에서 눈꺼풀올림근절제술과 이마근걸기술 비교
- 중등도조명시각계를 이용한 정상인과 라식 수술 후 환자의 중등도 조명시각 및 눈부심에 관한 연구
- 안검하수를 보이는 중증근무력증 진단에 있어서의 얼음검사의 유용성
- 정상인에서 안와내 직근의 위치에 대한 연구
-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아세톤아이드 주입에 합병된 수정체내 트리암시놀론 1예
- 망막신경섬유층 분석에 수정체혼탁이 미치는 영향?녹내장안과 정상안에서의 비교연구
- 다리뇌출혈로 인해 발생한 양방향 수평주시마비 1예
- 추적장치를 이용한 맞춤 라식과 굴절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의 임상 결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