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복막 접근법을 통한 단일 통로 복강경 부신 절제술의 초기 경험
이용수 1
- 영문명
- Initial Experience of Single Port Transperitoneal Laparoscopic Adrenalectomy
- 발행기관
- 대한내분비외과학회
- 저자명
- 이재관 곽하나 윤지섭 박용래 박찬흔 Jae Kwan Lee M.D. Ha Na Kwak M.D. Ji-Sup Yun M.D. Yong Lai Park M.D. and Chan Heun Park M.D.
- 간행물 정보
-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11권4호, 283~286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Single port laparoscopic surgery is an area of active investigation in abdominal surgery. A standard procedure for single port laparoscopic adrenal surgery has not been established.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following laparoscopic adrenalectomy via mono-port (LAMP). Methods: Between March 2009 and December 2009,10 patients underwent LAMP at Kangbuk Samsung Hospital. The same surgeon performed all surgeries. The first 5 cases underwent LAMP using an Alexis Wound Retractor (Applied Medical, Rancho Santa Margarita, CA, USA) with surgical gloves, and others were done with an OCTO Port (Dalim Surgnet, Korea). Results: Of the 10 patients, 5 were male and 5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43.7±9.9 years (range, 34∼62), and the mean BMI was 24.1±4.0 kg/m2 (Range, 17.1∼30.0). The mean tumor size was 32.5±16.9 mm (range, 12∼60),mean operative time was 127.0±29.5 min (range, 90∼180), and mean hospital stay was 4.5 days (range, 3∼7). Thre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non-functioning cortical adenoma, 3 with Cushing's syndrome, 2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and others with primarily hyperaldosteronism and myelolipoma. Major postoperative morbidity, blood transfusions, or conversion to open surgery did not occur. Conclusion: The outcome of LAMP demonstrate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is procedure. With increasing surgeon experience and refinement in instrument technology, we believe LAMP is likely to become a standard approach to adrenal disease. (Korean J Endocrine Surg 2011;11:283-286)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복막 접근법을 통한 단일 통로 복강경 부신 절제술의 초기 경험
- 갑상선질환에서 Sonic Hedgehog 단백질 발현의 임상적 의의
- 갈색세포종과 복부 부신경절종의 임상적 특성 분석
- 소포 변이 유두 갑상선암: 병리학적 소분류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연구
- Carcinoma Showing Thymus Like Differentiation (CASTLE) 1예 대한 경험
- 부신 질환에 대한 외과적 치료의 최근 경향
- Prophylactic Central Compartment Node Dissection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mplication and Outcome
- 갑상선 양성 결절의 고주파열치료법: 예비보고
- 갑상선 엽 절제술후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예측인자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으로 부신 절제술 받은 환자의 수술 후 결과에 대한 분석
- 후복막 접근법을 통한 복강경 부신절제술의 초기 경험
- 갑상선 절제술시 하시모토 갑상선염 동반 여부에 따른 임상적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Characteristics of imported and domestic malaria cases in Gyeonggi Province, Korea
- Levels of exposure markers among residents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in Korea,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and Asians in the United States
- Risk of non-cancer respiratory diseases attributed to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in Koreans: age-period-cohort and differences-in-difference analy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