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nographic Analysis of Malignant Thyroid Nodules by Surgeon
- 발행기관
- 대한내분비외과학회
- 저자명
- 고건 고진철1 최상용 박신희 이광찬1 김진승1 Gun Go M.D. Jin Chul Koh M.D.1 Sang Yong Choi M.D. Shin Hee Park M.D. Kwang Chan Lee M.D.1 and Chin Seung Kim M.D.1
- 간행물 정보
-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10권4호, 224~228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Ultrasound is most effective study for evaluating thyroid nodules. In this review, we discuss that sonographic findings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nodules and suggest recommendations for indications of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and thyroid nodule management. Methods: Sonographic scans of 206 thyroid nodules in 164 patients were candidated for this study. We evaluated sonographic findings by shape, calcification, margin, and echogenicity, retrospectively. Sonographic findings that suggested malignancy included microcalcifications, a speculated margin, marked hypoechogenicity and a shape that was taller than wide. The final diagnosis of lesion as benign (n=180) or malignant (n=26) was confirm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and follow-up (>6 months). We demonstrated the difference of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Results: Of 206 thyroid nodules, 26 were malignan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based on our sonographic classification method were 84.6%, 73.9%, 31.9%, 97.0% and 75.2%.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helpful for making the differentiation between and malignant nodules. So, when well trained surgeon find thyroid nodules on sonography, we can make correct diagnosis of malignant nodules. (Korean J Endocrine Surg 2010;10:224-228)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양성과 악성 갑상선 결절의 감별 진단에서 탄성 초음파
- 갑상선 양성 종양으로 갑상선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전후 갑상선 기능의 변화
- 유두 갑상선암에서 종양 크기에 따른 림프절 전이 양상
- 악성 종양의 추적 관찰 중 PET-CT에서 발견된 갑상선의 우연종
- Bethesda Classification에 의거한 갑상선 세침흡인 검사 결과 분석 및 Atypical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고찰
- 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된 갑상선 결절의 악성 종양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의 분석
- 갑상선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비진단적 검체의 특징과 치료 전략
- 수술 후 재발한 유두상 갑상선 암의 경부 재발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 한국인에서 다발성 내분비선종 증후군의 초기 증상 및 임상 양상
- 갑상선 결절 환자에서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와 고분화 갑상선암과의 연관성에 관한 분석
- 수술 전 갑상선 유두상암의 경부 림프절 전이 진단에 있어 18F FDG PET-CT의 의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Association of dietary inflammatory index with mortality risk: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Spatiotemporal trends in severe complicated influenza among the local population in Taiwan region, 2003-2023
- Adrenal Insufficiency Revealing Bilateral Adrenal Metastasis of a Lung Cancer: A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