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성과가 인적자원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전략의 조절효과
이용수 435
- 영문명
- The Effect of Firm Performance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Strategy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김진희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0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업의 성과가 인적자원개발투자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함께 기업이 추
구하는 혁신전략의 수준이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
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연구는 인적자원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밝
히는데 초점을 두어 왔다. 따라서 종업원들의 헌신을 유도하는 좋은 인적자원관리는 기업 성과의
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오는 인과관계로 이해되어왔다. 반면 좋은 인적자원관리는 결국 높은 성과
를 달성한 기업에 의해 만들어지고, 높은 성과에 의해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닌가라는 역인과관계(reverse causality relations)에 대한 가능성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실증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온 기업 성과에 따른 인적자원
투자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2012년 중소
기업청의 우수중소기업에 선정된 1,022개 업체(종업원 수 30인 이상∼300인 미만)를 대상으로 하
였으며, 2010년과 2011년의 기업별 매출액을 기업성과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성과가
높은 기업일수록 인적자원개발의 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전략의 추구하는 기업일
수록 기업성과와 인적자원개발 투자 간의 관계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irm performance on HRD Inves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on strategy between the two variables. Previous
studi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a showed that HR can enhance firm performance.
However, some researchers addressed the possibility that firm performance causes HR
system investment also can exist. Reverse causality between HR and firm performance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true relationship between HR system and firm performanc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HR managers in 1,022
S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firm performance on HRD investment
and innovation strategy strengthened the firm performance-HR relationships. These results
contributed to strategic HR research by empirically testing the reverse causal relation
between HR and firm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