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공기업 종사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 및 성숙도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583

영문명
Public Enterprise Employees’ Perception o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Maturity Perception of SHRD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권완섭 홍아정 박치경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0권 제1호, 77~9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는 기업의 인적자원이 성공의 동력으로 인식됨에 따라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높아졌다. 국내 공기업에 도 SHRD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기업 종사원의 SHRD 중요도와 성숙도 인식수준을 분석하였 고, 더불어 HRD 담당자와 일반부서 직원들 간에 차이를 검증하여 공기업의 SHRD에 대한 시사점 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HRD 담당자와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7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기술 통계분석, HRD담당자와 일반 직원의 전략적 인적자 원개발 중요도와 성숙도 인식수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독립집단 t-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업 종사원의 SHRD 네 가지 주요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조직문화 공유 및 확산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영성과 및 조직목표 달성 지원, 차세대 리더 및 핵심인재 양성, 변화와 혁신선도 및 지원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SHRD 성 숙도 인식수준은 HRD담당자와 일반 직원 모두 HRD와 조직의 미션 및 목표와의 관계, HRD와 관 련된 경영층의 태도, HRD활동에 대한 실행계획·정책 및 전략 부문이 ‘매우성숙’ 수준의 강한 지지 를 보였다. 셋째, HRD담당자와 일반 직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와 성숙도 인식수준에 있 어서 각각의 하위변인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HRD담당자가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와 성숙도 수준을 일반 직원에 비해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Since human resources is considered the main factor for companies to succeed in a competitive global market,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 has gained much attention. Although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have also recognized its importance,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to describe its status. Thus, this study analyzed how public enterprise employees perceive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maturity of SHRD. The study also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HRD personnel and general employees of other departments. A total of 171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sharing and spreading organizational culture i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HRD. Secondly, both HRD personnel and general employees in the level of maturity perception of SHRD showed strong support with the level of ‘very mat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and organizational missions and goals, attitude of top management relating to HRD, active plans, policies, and strategies about HRD. Thir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RD personnel and general employees on the importance perception and the level of maturity perception of SHRD. HRD personnel have a higher perception than other employees on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maturity perception of SHR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완섭,홍아정,박치경. (2015).국내 공기업 종사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 및 성숙도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0 (1), 77-97

MLA

권완섭,홍아정,박치경. "국내 공기업 종사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 및 성숙도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0.1(2015): 7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