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Stormwater Runoff Reduction Effects by LID Application Area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응석 연종상 신현석 이종석 최현일 Kim, Eung Seok Yeon, Jong Sang Shin, Hyun Suk Lee, Jong Seok Choi, Hyun I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2호, 309~31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심유역 강우유출량 저감을 위한 집중형 유출저감시설의 한계점 때문에, 최근 분산형 유출저감시설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 계획 및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와 투수성포장과 같은 대표적인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적용면적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옥상녹화, 투수성표장, 그리고 두 기술의 복합적용 등 3가지 경우로 선택된 LID요소기술은 상습침수유역을 연구대상으로 각각 실제 지붕 및 도로 면적에 대한 0, 25, 50, 75, 100% 등의 4가지 적용비율에 따라 SWMM모형내의 LID 기법을 이용하여 적용되었다. SWMM-LID 모의결과, 3가지 경우의 LID 적용기술 모두 설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우수유출의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모두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상녹화의 경우 적용가능한 면적에 25%적용, 투수성포장의 경우는 75%적용, 복합적용은 50%를 적용하는 것이 각 LID요소기술 설치면적 대비 우수유출량 저감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LID(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the distributed facilities, have been recently planed and implemented for stormwater runoff reduction tools, because the centralized facilities for flood controls were limited in reducing urban stormwater runoff amount. Thu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ormwater runoff reduction effects by application areas of the representative LID element techniques such as the green roof(GR) and the permeable pavement(PP). Three selected LID features, GR, PP, and both of them(GR+PP), were respectively applied with the four installation area ratios(0, 25, 50, 75, and 100%) to the actual areas of roofs and roads available in a frequently inundated basin under study utilizing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LID Controls. The SWMM-LID simulation results represent that the increase of installation areas of the three LID features can reduce the stormwater runoff in both peak discharges and runoff volume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GR application with 25% area ratio, the PP application with 75% area ratio, and the GR+PP application with 50% area ratio are most effective, respectively for the stormwater runoff reduction by LID installation area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지반고가 상이한 지반-구조물-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진응답 해석연구
- 단일벽 및 이중벽 모형앵커를 이용한 석션케이슨 앵커의 거동분석
- 국내 수문학적 활용성 평가를 위한 다중위성 강수자료의 검증
- Fluent 모형을 이용한 대심도 배수터널 유입부의 통수능력 분석
- 산업현장 폭발사고 주요원인 분석 및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PSR 구조를 이용한 호소 환경위험지수 산정
- 반복적 소방활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 연직진동말뚝의 계측자료 분석
- 상·하류 관측수위 기반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기준 강우량 산정기법
- 울산광역시의 설해위험지수 산정
- 선진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사례검토
- 사연댐 수위조절 시 반구대암각화의 수리학적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 산불 소화시설에 바람이 미치는 효과 연구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I: 1절점 회전형 마찰요소
- 성능적인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초기화재시의 화재성장률 예측에 관한 연구
- 빗물펌프장 조기가동에 따른 도시 내수침수 저감효과 분석
-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기계적, 열적 및 난연특성
- 재난 발생 시 이송 및 병원 자원 제약을 고려한 이송환자 우선순위 결정 연구
- 내화뿜칠피복재의 내구성 촉진평가방법 표준화 연구
- 홍수방어시설용량-피해 매트릭스를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별 고유홍수취약성 평가
- 고속도로 주행 중 발생한 트럭화재의 분석
- 철골중간모멘트골조의 붕괴성능 I
- 식생영향을 고려한 연 증발산량 산정모형 개발 및 적용
- SWMM을 이용한 수영강 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가압기 맨웨이 볼트의 누설률 평가에 관한 연구
- 수정 간접 평가 방법 개발을 활용한 상수도 관망 노후도 예측모델 연구
- 확장 해밀턴 이론에 근거한 선형 탄성 시스템의 이차의 시간 유한 요소해석법
- 빅데이터 기반 재난 전조감지 모델
- 빗물이용시설 신뢰도 평가모형의 국내 적용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부산광역시에의 적용
- 제설제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염화물 침투 예측기법
- 철골중간모멘트골조의 붕괴성능 II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의 최적설계에 대한 해석 연구
- 수직하중을 받는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거동 평가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강우유출수 처리비 산정식 개선 -WQF 기준 시설-
- 지진시 산사태 발생 예측 및 산지 내 문화재 영향 분석
- 화재시 비차열 유리의 허용면적비에 관한 연구
- 구조물 기둥 내진 보강 성능 평가
- LID 적용면적별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유발 강우기준 연구
- 시공성을 고려한 H형강 기둥의 신형상 약축접합부 내진성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