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analysis for Maintenance Project on Natural Disaster Prone Area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허보영 Heo, Bo 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3호, 97~10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지금까지 수행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에 대해 정량 정성적인 방법으로 효과성을 분석했으며, 분석결과를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보 필요성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유사사업의 효과분석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효과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효과분석은 크게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비용편익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1) 만족도, (2) 정비사업 전 후의 피해경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외에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과 유사한 공공사업인 농업, 산림, 수산업 등의 정책평가에서 사용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3)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량적 분석에서는 비용편익비가 1이상을 나타냈으며, 정성적 분석에서도 사업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된 효과는 정비사업의 예산확보에 기여 및 향후 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방향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effect analysis of the Maintenance Project on Natural Disaster Prone Areas was analys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analysis is used as fundamental data to acquire the continuous and stable budget statu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cases of effectiveness analysis of similar projects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is, the methods of effectiveness analysis on rehabilit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The effectiveness analysis was divided roughly into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quantitative analysis utilized the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conducted the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2) the damage reduction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3) the validity analysis through, besid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generally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in the policy evaluatio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dustry projects, which are the public projects similar to the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st-benefit analysis ratio was more than 1, and als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was positively perceived.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budget fo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fficiently promoting the rehabilitation projects going forwar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 목조건축물 주요 구조부의 수종에 대한 연소특성
- 강원지역 사면재해 위험성 분석을 위한 강우기준 설정 연구
- 해저기지 건설을 위한 핵심기술 조사
- 서울지역 강우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정책 인식프레이밍 관점에서 댐 건설 갈등사례 비교분석 - 한탄강댐과 동강댐 사례를 중심으로 -
-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단성능 평가
- 태풍으로 인한 극한 수문사상에 대한 기후변동의 영향 평가: 우리나라 5대 권역을 중심으로
- 도시소유역의 침수예측을 위한 Flood Nomograph의 구축
- 서낙동강 호소형 하천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비교 분석
-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계한 도시 소유역 수문예측모형 개발
- 배지의 특성에 따른 토양미생물 활성이 Bio-electrokinetics에서 Pb와 Cu의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 항만준설토 혼입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투과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동수압을 고려한 지진해일 최대침수예상구역 예측
- 정량·정성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분석
- 화재원인 판정 오류 최소화를 위한 대책에 관한 연구
- 산불감시카메라 가시권 분석 및 설치 적정대수 산정 (삼척시를 중심으로)
- 노후도를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학교시설의 안전평가에 관한 연구
- 수공구조물의 건설로 인한 하상변동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비정상성 GEV 모형을 이용한 행정구역별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
- 정현형 지형과 다양한 외부흐름에 의한 반사
- 구조대원 사건충격정도가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 활동기반 모형을 이용한 상습 침수 지역의 대피경로 분석
- Water gel의 밀도 및 두께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저감
- 강우에너지식 유도를 통한 전국 월별 강우침식인자 특성 분석
- 주거시설의 가연물 연소 DB구성에 관한 연구
- 중요목조문화재의 외부소방환경 실태조사 연구
- 목조문화재 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소방공무원의 의식조사 연구
- 비개착공법으로 건설된 지하구조물 상부 콘크리트 도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주변지형을 포함한 3차원 하상단면 표출에 관한 연구
- 수리모형실험을 이용한 경사형 낙차공의 만곡부 흐름특성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