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Activation of Soil Microbes on Electromigr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of Pb and Cu by Bio-electrokinetic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홍태 이태룡 Kim, Hong Tae Lee, Tae Ry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3호, 247~25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해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하여 고려된 유망한 기술은 동전기정화법이다. 정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몇가지를 수정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에 동전기적 기술을 사용하고 배양된 금속환원 미생물과 영양분을 주입하여 토양 내의 토착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납과 구리의 이동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목표이며,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배양액 중 배양된 금속환원 미생물의 부피를 75%로 맞추었을 때 제거효율이 가장 크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배양액으로 ${NO_3}^-$ 를 사용하여 배양된 금속환원 미생물군의 중금속 제거 능력이 다소 뛰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의 동전기법과 비교하여 이동도가 60~70%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Electrokinetic has been considered a promising technology to remediate soils contaminated with toxic heavy metals. Several modifications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the remedi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bio-electrokinetic(BEK) process which stands for electrokinetic process combinded with activated soil bacteria was proposed and environmentally evaluated for enhancement of Pb and Cu migration rates by using culture media solution instead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ive different types of the solutions for each phases were used at different culture media and electrolyte ratios (v/v) with 1:0, 0:1, 3:1, 1:1 and 1:3 for phase 1, 2, 3, 4 and 5, respectively. In addi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e ratios between soil microbes and electrolyte at 90% and 80%. In the experiments using electrolyte of containing ${NO_3}^-$ , the concentrations of leed and copper in the soil at section-1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section-6 since heavy metal components moves from the cathode electrode to the anode electrode. Also the migration rate of lead and copper is high at phase 3. In the experiments using electrolyte of containing ${NO_2}^-$ , the migration rate of lead and copper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using electrolyte of containing ${NO_3}^-$ . Overal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using electrolyte of containing ${NO_3}^-$ is higher than that of using electrolyte of containing ${NO_2}^-$ .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 목조건축물 주요 구조부의 수종에 대한 연소특성
- 강원지역 사면재해 위험성 분석을 위한 강우기준 설정 연구
- 해저기지 건설을 위한 핵심기술 조사
- 서울지역 강우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정책 인식프레이밍 관점에서 댐 건설 갈등사례 비교분석 - 한탄강댐과 동강댐 사례를 중심으로 -
-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단성능 평가
- 태풍으로 인한 극한 수문사상에 대한 기후변동의 영향 평가: 우리나라 5대 권역을 중심으로
- 도시소유역의 침수예측을 위한 Flood Nomograph의 구축
- 서낙동강 호소형 하천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비교 분석
-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계한 도시 소유역 수문예측모형 개발
- 배지의 특성에 따른 토양미생물 활성이 Bio-electrokinetics에서 Pb와 Cu의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 항만준설토 혼입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투과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동수압을 고려한 지진해일 최대침수예상구역 예측
- 정량·정성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분석
- 화재원인 판정 오류 최소화를 위한 대책에 관한 연구
- 산불감시카메라 가시권 분석 및 설치 적정대수 산정 (삼척시를 중심으로)
- 노후도를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학교시설의 안전평가에 관한 연구
- 수공구조물의 건설로 인한 하상변동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비정상성 GEV 모형을 이용한 행정구역별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
- 정현형 지형과 다양한 외부흐름에 의한 반사
- 구조대원 사건충격정도가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 활동기반 모형을 이용한 상습 침수 지역의 대피경로 분석
- Water gel의 밀도 및 두께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저감
- 강우에너지식 유도를 통한 전국 월별 강우침식인자 특성 분석
- 주거시설의 가연물 연소 DB구성에 관한 연구
- 중요목조문화재의 외부소방환경 실태조사 연구
- 목조문화재 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소방공무원의 의식조사 연구
- 비개착공법으로 건설된 지하구조물 상부 콘크리트 도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주변지형을 포함한 3차원 하상단면 표출에 관한 연구
- 수리모형실험을 이용한 경사형 낙차공의 만곡부 흐름특성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